728x90
반응형

Express.js의 이해

웹서버란 무엇인가? Express는 무엇인가?

일반적인 웹 서버Node.js로 만든 웹 서버는 다르지 않습니다.

기능이 다른 웹 서버는 존재할 수 있지만 기반이 되는 개념 자체가 다른 웹 서버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Express.js란?

Express.jsNode.js로 서버를 빠르고 간편하게 만들 수 있게 도와주는 웹 프레임워크 입니다.

 

API Client 학습

API Client란 개발단계에서 우리가 작성한 API의 요청을 확인하거나 테스팅 할 때 도움을 주는 툴입니다.

API Client를 사용함으로 개발 속도를 높이거나 치명적인 에러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Postman, Insomnia 등 여러 API Client가 있지만 이번에는 Thunder Client를 사용할 예정입니다.

 

Routing이란?

Routing은 클라이언트의 요청 조건(메서드, 주소 등)에 대응해 응답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Router란?

여기서 말하는 Router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쉽게 처리 할 수 있게 도와주는 Express.js 기본 기능중 하나입니다.

Module이란?

모듈(Module)은 Javascript 파일 단위로 분리된 코드를 일컫습니다.

여기서 Javascript 파일은 특정한 기능을 가진 여러 개의 함수변수들의 집합입니다.

 

Request, Response란 뭘까?

  • Request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전달하려는 정보나 메시지를 담는 객체를 의미합니다.
  • Response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시켜주는 객체입니다.

 

API와 REST API의 개념

API란? API애플리케이션끼리 연결해주는 매개체이자 약속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REST APIURL, Headers, Method 등 네트워크 표현 수단을

사람이 봐도 이해하기 쉬운 표현으로 정의한다고 이해하면 됩니다.

또한 이 “REST 아키텍쳐”는 사람이 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자원”을 정의하고 이 “자원”을 중심으로 표현을 구성하는 원칙을 제시합니다.


API Client란 개발단계에서 API요청을 확인하거나 테스팅할때 도움을 주는 툴입니다.

VS Code안에서 사용할 수 있으니 참고!  [Thunder Client ]

 

REST API

REST API의 구성은 크게 세 가지로 이루어 집니다

 

REST API 개발

상품 목록 조회 API에서는 모든 상품이 한번에 다 나올수 있어야 합니다.

예를들어 get 메소드를 이용해서 /goods 라는 주소로 들어갔을때

모든 상품 목록이 response로 응답해서 json 포맷으로 상품 목록이 보여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노드JS란?

노드js는 크롬V8 자바스크립트 엔진으로 빌드된 자바스크립트 런타임입니다.

V8엔진은 구글에서 만든 것으로 자바스크립트가 브라우저내에서만 작동가능했던 것을

브라우저 없이도 작동할 수 있도록 만든 것 입니다.

 

쉽게 말하면 노드js란 자바스크립트가 브러우저가 아닌

컴퓨터에서 브라우저 없이 실행하게 도와주는 환경!

 

노드js의 특징: 논 블로킹 I/O , 싱글스레드, 이벤트 루프

논블로킹 I/O : 함수가 실행되는 중에도 다른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장점 (비동기 작업을 할때 효율적인 특성)

-> I/O란  입력(Input)/출력(Output)의 약자로, 컴퓨터 및 주변장치에 대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그램, 운영 혹은 장치를 일컫는 말

싱글 스레드 :  스레드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며, 동시에 하나의 작업만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스레드는 프로그램이 동작할 때, CPU 또는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단위

이벤트 루프 : JS가 가지고 있는 싱글 스레드의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효율적으로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특성

 

CMD -> cd C:\Program Files\nodejs 에 들어간 후

node -v 와 node 를 입력해 노드 설치 확인가능

 

REPL이란? 

입력받은 코드를 읽어(Read) 메모리에 저장하고, 평가(Evaluate) 된 값을 출력합니다.

특정 신호를 받기 전까지 위의 과정을 반복(Loop)합니다.

입력하는 코드의 결과를 즉시 확인할 수 있는 개발 환경

(예) CMD, 터미널 또는 F12 검사를 통한 console환경

 

동기(Sync) & 비동기(Async)

 

동기와 비동기에 대한 개념

일반적으로 "동기로 실행된다"라고 함은, 먼저 실행된 코드 결과가 나올때까지 대기 하는 것을 말합니다.

동기 : 놀이기구(전부 내릴때까지 못탐) / 비동기 : 맛집(한명씩 나오면 들어감)

 

블로킹 모델 & 논블로킹 모델

Blocking Model이란, 코드의 실행이 끝나기 전까지 실행 제어권을 다른곳에 넘기지 않아 다른 작업을 하지 못하고 대기

Non-Blocking Model이란, 코드의 실행이 끝나지 않아도 실행 제어권을 다른곳에 넘겨 다음 코드가 실행

결론적으로 자바스크립트는 각 명령들이 순서대로 실행될 수 있게 구현되어 있지만,

                   Non-Blocking Model에 의해 동기적 명령이 아닌 모든 함수는 비동기적으로 실행됩니다.

 

 

프로미스(Promise)

자바스크립트에서 비동기 처리동기로 처리할 수 있게 돕는 Built-in(미리 내부적으로 정의된)객체 유형입니다.

이 객체를 이용하면 여러분은 비동기 처리를 아주 손쉽게 할 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는 비동기(논블로킹)이지만 Promise 함수를 통해 동기 처리도 가능하다! (예약)

 

Promise 생성자 인터페이스 executor에는 함수만 올 수 있으며 인자로 resolve, reject가 주입됩니다.

executor는 Promise실행 함수라고 불리고, Promise가 만들어질 때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Promise가 연산을 언제 종료하는지 상관하지 않고, resolve, reject 중 하나를 무조건 호출해야합니다.

new Promise(executor);

// 예제
new Promise((resolve, reject) => {
	// 명령문
});

 

생성자(Constructor)

Javascript에서는 원시 타입(String, Boolean 등) 을 제외한 대부분의 타입들이 객체(Object)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객체(Object)를 생성하는 함수를 생성자(Constructor) 함수라고 부르게 되는데,

Promise 또한 객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생성자 함수를 이용해 Promise를 선언하게 됩니다.

function printFunc(data){
  console.log(data);
}

// 생성자 함수
const obj = new Object();
const promise = new Promise(printFunc);

Promise의 상태

  • 대기(Pending): 이행하거나 거부되지 않은 초기 상태
  • 이행(Fulfilled): 연산이 성공적으로 완료됨
  • 거부(Rejected): 연산이 실패함

Promise가 만들어 질 때 executor가 실행되며, executor에서 resolve 함수가 호출되기 전까지

firstPromise.then(...) 안에 있는 코드를 실행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executor 가 실행되어 resovle된 프로미스를 Fulfilled Promise라고도 부릅니다.

Promise 안에서 resolve가 실행 된 경우 then 메서드에 작성된 함수가 실행됩니다.

const timerPromise = new Promise((resolve, reject) => { // 이곳에 정의된 함수가 executor
  setTimeout(() => {
	  console.log('First');
		resolve();
	}, 1000);
});

// 이 시점에서 timerPromise는 Fulfilled Promise라고 부를 수 있다.

timerPromise.then(() => {
	console.log('Middle');
	console.log('Last');
});

// Print: First
// Middle
// Last

 

Promise.catch

Promise 안에서 에러가 throw 되거나 reject가 실행되면 catch 메서드에 작성한 함수가 실행됩니다.

const errorPromise = new Promise((resolve, reject) => {
  setTimeout(() => {
	  console.log('First');
		reject('Error!!'); // 직접 reject를 실행하면 프로미스에서 에러가 발생한것으로 간주됩니다.
	}, 1000);
});

errorPromise.then(() => {
	console.log('Middle');
	console.log('Last');
}).catch((error) => {
	console.log('에러 발생!', error);
});

// Print: '에러 발생! Error!!'

 

비동기 함수 (Async Function)

비동기 함수는 일반 함수나 화살표 함수와 아주 비슷하지만 딱 두가지만 다릅니다.

  1. 비동기 함수결과 값항상 Promise 객체로 resolve된다.
  2. 비동기 함수 안에서만 await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다. (바로 아래에서 배웁니다!)

이 두가지 특징을 제외하면 기존처럼 일반 함수나, 화살표 함수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처럼요. 아래 세가지 함수 모두 결과 값은 Promise로 받습니다.

 

// 비동기 + 일반 함수
async function 함수이름() {
	// 명령문
}

// 비동기 + 익명 함수
async function() {
  // 명령문
}

// 비동기 + 화살표 함수
async () => {
	// 명령문
}

await 연산자
await 연산자를 사용하면 Promise가 fulfill 상태가 되거나 rejected될 때 까지 함수의 실행을 중단하고 기다릴 수 있습니다.
Promise의 연산이 끝나면 함수에서 반환한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대기한 후 결과값 반환)
await 연산자는 async 함수 안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nst result = await 값;

값에는 Promise가 아닌 다른 값도 들어갈 수 있습니다. 아래처럼!

Promise가 아니라면 기다리지 않고 해당 값 자체를 그대로 반환합니다.

async function 함수이름() {
	const result = await 'Test!';
	console.log(result);
}

함수이름();
// Print: 'Test!';

 

객체 리터럴

객체(Object)란?

Javascript의 데이터 타입은 크게 원시 타입객체 타입으로 분류됩니다.

  • 원시 타입은 단 하나의 값만을 나타내고, 원시 타입의 값은 변경이 불가능 한 값입니다. (true, false)
  • 객체 타입은 다양한 타입의 값을 하나의 단위로 구성한 복합적인 자료 구조이고,
    객체 타입의 값을 변경 가능한 값입니다.

Javascript는 객체(Object)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이고, Javascript를 구성하는 거의 모든 것은 객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객체(Object) 는 0개 이상의 프로퍼티로 구성된 집합이며, 하나의 프로퍼티는 KeyValue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객체리터럴 이란?

리터럴(literal)은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또는 약속된 기호를 사용해 값을 생성하는 표기법입니다.

여기서 객체 리터럴은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표기법입니다.

객체 리터럴은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 Class를 먼저 선언하고 new 연산자와 함께 생성자를 호출할 필요가 없이 일반적인 숫자, 문자열을 만드는것과 유사하게 객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객체리터럴로 객체 생성하기

객체 리터럴은 중괄호{} 내에 0개 이상의 프로퍼티를 선언해서 선언합니다.

let objectLiteral = {
    key: 'Value',
    helloWorld: function () {
        return "Hello world";
    }
};

프로퍼티(Property) 란?

객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Data)입니다.

프로퍼티는 (Key)와 (Value)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const human = {
  // 프로퍼티 키: 'name', 프로퍼티 값: '이용우' 
  name: '이용우',
  // 프로퍼티 키: 'human age', 프로퍼티 값: 28 
  'human age': 28   //' '에서는 띄어쓰기 또는 이미 선언된 이름도 사용가능
}

메서드(Method) 란?

프로퍼티를 참조하고 조작할 수 있는 동작(behavior)을 나타냅니다.

객체의 프로퍼티 값이 함수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메서드(Method)라고 부릅니다.

let objectLiteral = {
    key: 'Value', // 프로퍼티
    helloWorld: function () { // 메서드
        return "Hello world";
    }
};

console.log(objectLiteral.helloWorld()); // Hello world

 

Error handling

- 에러 핸들링(Error handling) 이란?
에러 핸들링은 에러를 관리하는 방법이고,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처하는 방식입니다.
에러는 예상할 수 있는 에러와 예상치 못한 에러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할 때에는 예상치 못한 에러 상황이 더욱 많이 일어날 것으로 가정해야 합니다.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코드에서 예상치 못한 에러가 일어날 가능성은 언제나 존재하고,

이러한 에러 상황을 대비해 언제든지 처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 Try / Catch
서버에서 에러가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저희는 예외 처리를 진행합니다.
예외 처리는 일반적으로 `try … catch` 문을 사용합니다.
`users`에 들어있는 이름들을 `String.toUpperCase()`를 이용하여 대문자로 변경하려할 때

문자열(String)이 아닌 데이터가 들어온다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이렇게 예상치 못한 에러에 대처하기 위해선 `try … catch`문으로 코드 전체를 감쌀 수 있습니다.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프로그램이 멈추지 않고 에러를 기록**할 수 있습니다.

const users = ["Lee", "Kim", "Park", 2];  //2는 문자열이 아니라서 에러

try {
  for (const user of users) {
    console.log(user.toUpperCase());
  }
} catch (err) {
  console.error(`Error: ${err.message}`);
}

// LEE
// KIM
// PARK
// Error: user.toUpperCase is not a function

 

- throw

위에서 에러를 핸들링하는 과정만 공부하였다면, 에러는 무조건 차단하고 발생시키면 안되는 걸까요?

아닙니다. 프로그래머의 입장에서 에러는 고의로 에러를 발생시키기도 해야합니다.

예를 들어서 은행 어플리케이션의 현금 인출 서비스를 만든다고 할 때,

계좌의 잔고가 요청받은 금액보다 적다면 현금 인출을 막고 예외를 발생시켜야겠죠? 이럴때 사용하는 것이 throw입니다.

throw를 호출하면 그 즉시 현재 실행되고 있는 함수는 실행을 멈추게 됩니다.

function withdraw(amount, account) {
  if (amount > account.balance)
    throw new Error("잔고가 부족합니다.");
  account.balance -= amount;
	console.log(`현재 잔고가 ${account.balance}남았습니다.`); // 출력되지 않음
}

const account = { balance: 1000 };
withdraw(2000, account);

// Error: 잔고가 부족합니다.

- finally

try 에서는 HTTP연결이 되고 있거나 파일과 같은 특정한 ‘자원’을 가지고 처리할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자원'을 계속 가지고 있으면, 무의미한 메모리를 차지하게 될 것 이므로

에러 여부와 상관없이 일정 시점에서는 해당 ‘자원'을 삭제 시켜야합니다.

그렇다면 이 ‘자원'을 삭제하는 시점은 언제가 되어야 할까요?

에러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try? 아니면 에러가 일어났을 때 실행되는 catch?

이런 상황에서는 finally가 필요합니다.

finally는 try/catch 실행후 에러 여부와 상관없이 언제든지 실행됩니다.

function errorException(isThrow) {
  try {
    console.log('자원을 할당하였습니다.');
    if (isThrow) throw new Error();
  } catch (error) {
    console.log('에러가 발생했습니다.');
  } finally {
    console.log('자원을 제거하였습니다.');
  }
}

errorException(false);
// 자원을 할당하였습니다.
// 자원을 제거하였습니다.
errorException(true);
// 자원을 할당하였습니다.
//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 자원을 제거하였습니다.

 

클래스

- 클래스란?

현실과 비슷한 개념(객체)을 나타내기 위한 도구클래스(Class)라고 부릅니다.

클래스는 미리 정의해놓으면 필요할 때마다 해당 클래스로 동일한 틀을 가진 객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여기서 동일한 클래스를 이용해 생성한 객체를 인스턴스(Instance)라고 부릅니다

출처 : https://ko.javascript.info/constructor-new

// 클래스, 생성자 함수는 대문자 시작+new를 쓰는 것이 관례
class User { 
}
//user는 인스턴스
const user = new User();
user.name = "이용우";
user.age = 28;
user.tech = "Node.js";

console.log(user.name); // 이용우
console.log(user.age); // 28
console.log(user.tech); // Node.js

생성자(Constructor)

클래스 내부에서 constructor()로 정의한 메서드를 "생성자"라고 부릅니다.

미리 정의한 클래스를 기반으로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Javascript 내부에서 호출되는 메서드입니다.

class User {
  constructor(name, age, tech) { // User 클래스의 생성자
    this.name = name;
    this.age = age;
    this.tech = tech;
  }
}

const user = new User("이용우", 28, "Node.js"); // user 인스턴스 생성

console.log(user.name); // 이용우
console.log(user.age); // 28
console.log(user.tech); // Node.js

this와 프로퍼티(Property)

생성자의 바디에서 this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이 this는 클래스를 사용해 만들어 질 객체 자신을 의미하고 this 뒤에 붙는 name, age, tech는 클래스를 이용해서 만들어질 객체의 속성(Propety)입니다.

 

메서드(Method)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값은 프로퍼티 값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프로퍼티 값이 함수일 경우에는 일반 함수와 구분하기 위해 메서드(Method)라고 부릅니다.

즉, 메서드는 객체(Object) 에 묶여 있는 함수를 의미합니다.

클래스 내에서 만든 함수는 메서드다! 라고 볼수있습니다.

class User {
  constructor(name, age, tech) { // User 클래스의 생성자
    this.name = name;
    this.age = age;
    this.tech = tech;
  }

  getName() { return this.name; } // getName 메서드
  getAge() { return this.age; }.  // getAge 메서드
  getTech() { return this.tech; } // getTech 메서드
}

const user = new User("이용우", "28", "Node.js"); // user 인스턴스 생성
console.log(user.getName()); // 이용우
console.log(user.getAge()); // 28
console.log(user.getTech()); // Node.js

상속

일반적으로 클래스의 인스턴스는 선언한 클래스의 기능을 모두 상속합니다.

상속을 이용해 부모 클래스자식 클래스로 나뉠 수 있는데요.

부모 클래스의 경우 메서드, 내부 변수와 같은 정보를 자식 클래스에게 할당해줄 수 있습니다.

class User { // User 부모 클래스
  constructor(name, age, tech) { // 부모 클래스 생성자
    this.name = name;
    this.age = age;
    this.tech = tech;
  }
  getTech(){ return this.tech; } // 부모 클래스 getTech 메서드
}

class Employee extends User{ // Employee 자식 클래스
  constructor(name, age, tech) { // 자식 클래스 생성자
    super(name, age, tech);
  }
}

const employee = new Employee("이용우", "28", "Node.js");
console.log(employee.name); // 이용우
console.log(employee.age); // 28
console.log(employee.getTech()); // 부모 클래스의 getTech 메서드 호출: Node.js

 

클래스 퀴즈

class Unit {
  constructor(name, hp) {
    this.name = name;
    this.hp = hp;
  }
  healing(heal) {
    if (this.hp <= 0) return;
    this.hp += heal;
    if (this.hp >= 100) this.hp = 100;
  }
  damaged(damage) {
    if (this.hp <= 0) return;
    this.hp -= damage;
    if (this.hp <= 0) this.hp = 0;
  }
}

const unit = new Unit('유닛', 100);
unit.damaged(70); // 30
unit.healing(10); // 40
unit.damaged(50); // 0
unit.healing(100); // 0

 

다시 한번 요약정리 (https://bit.ly/3VTSzeA)

 

블로킹/논블로킹

= 요청받는 함수가 제어권(함수실행권)을 언제 넘겨주느냐의 차이

  • 블로킹 : 요청받는 함수가 작업을 모두 마치고 나서야 요청자에게 제어권을 넘겨줌              
                  (그동안 요청자는 아무것도 하지않고 기다림)
  • 논블로킹 : 요청받은 함수가 요청자에게 제어권을 바로 넘겨줌 (그동안 요청자는 다른 일을 할 수 있음)

 

동기/비동기

= 요청받은 함수가 작업을 완료했는지를 체크해서 순차적 흐름의 차이

  • 동기 : 요청자가 요청받은 함수의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계속 확인 (여러 함수들이 시간을 맞춰 실행됨)
  • 비동기 : 요청자는 요청후 신경X, 요청받은 함수가 작업을 마치면 알려줌               (함수들의 작업 시작/종료 시간이 맞지 않을수도)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