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주소(IPv4 주소)란?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기기는 고유한 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IP 주소입니다. 우리가 집 주소를 통해 특정 건물을 찾아갈 수 있듯이, 컴퓨터와 서버는 IP 주소를 통해 서로를 찾고 통신합니다.

전통적인 IP 주소 체계인 IPv4(IP version 4)는 32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192.168.1.1과 같이 점으로 구분된 네 개의 숫자로 표시됩니다. 각 숫자는 0부터 255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봅시다

  • 구글의 IP 주소 중 하나: 8.8.8.8
  • 로컬 네트워크에서 자주 사용되는 주소: 192.168.0.1

이러한 주소 체계를 통해 인터넷상의 모든 기기는 서로를 식별하고 통신할 수 있게 됩니다.

IP 주소 고갈 문제

IPv4의 가장 큰 문제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주소 공간의 제한입니다. IPv4 주소는 32비트로 구성되어 있어, 이론적으로는 약 43억 개(2^32)의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처음 인터넷이 설계될 당시에는 이 정도면 충분하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인터넷의 폭발적인 성장과 함께 스마트폰, 태블릿, IoT 기기 등 인터넷에 연결되는 기기의 수가 급증했습니다. 현재 지구상에는 약 80억 명의 인구가 살고 있으며, 한 사람이 여러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각종 서버, 라우터, 스마트 가전제품 등도 모두 IP 주소를 필요로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IPv4 주소는 이미 2011년에 공식적으로 고갈되었다고 발표되었습니다. 물론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와 같은 기술을 통해 여러 기기가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공유할 수 있게 되었지만, 이는 임시방편일 뿐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했습니다.

IPv6이란?

IPv6(IP version 6)는 이러한 IP 주소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입니다. IPv6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주소 공간의 확장입니다.

IPv6 주소는 128비트로 구성되어 있어, 이론적으로는 약 340조개의 주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IPv6 주소는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와 같이 콜론으로 구분된 8개의 16진수 그룹으로 표시됩니다. 각 그룹은 16비트(4자리 16진수)를 나타냅니다.

이렇게 긴 주소를 더 간결하게 표현하기 위해 몇 가지 규칙이 있습니다:

  1. 각 그룹의 앞에 오는 0은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예: 0db8은 db8로 표기 가능
  2. 연속된 0으로만 이루어진 그룹은 :: 기호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단, 한 번만 사용 가능). 예: 2001:0db8:0000:0000:0000:8a2e:0370:7334는 2001:db8::8a2e:370:7334로 표기 가능

 

IPv6의 기본 지식

IPv6는 단순히 주소 공간만 확장한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통신 방식에도 여러 개선을 가져왔습니다. 특히 주소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유니캐스트 주소 (Unicast Address)

유니캐스트 주소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식별하는 주소입니다. 유니캐스트 주소로 전송된 패킷은 해당 주소의 인터페이스로만 전달됩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친구에게 개인 메시지를 보내는 것과 같습니다. 메시지는 오직 그 친구에게만 전달됩니다.

 

유니캐스트 주소의 종류

  • 글로벌 유니캐스트 주소: 인터넷 상에서 전 세계적으로 사용 가능한 주소 
  • 링크-로컬 주소: 같은 네트워크 링크 내에서만 유효한 주소, 항상 fe80::으로 시작
  • 고유 로컬 주소: 로컬 네트워크 내에서만 사용되는 주소, IPv4의 사설 주소와 유사

 

멀티캐스트 주소 (Multicast Address)

멀티캐스트 주소는 여러 인터페이스 그룹을 식별하는 주소입니다. 멀티캐스트 주소로 전송된 패킷은 해당 그룹에 속한 모든 인터페이스에 전달됩니다.

이는 마치 단체 채팅방에 메시지를 보내는 것과 같습니다. 메시지는 채팅방에 있는 모든 사람에게 전달됩니다.

멀티캐스트 주소는 항상 ff로 시작합니다.

 

멀티캐스트 주소의 활용 예시

  • 라우팅 프로토콜 정보 교환
  •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동 발견
  •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등

 

애니캐스트 주소 (Anycast Address)

애니캐스트 주소는 여러 인터페이스에 할당되는 주소입니다. 하지만 멀티캐스트와 달리, 애니캐스트 주소로 전송된 패킷은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해 결정된 '가장 가까운' 인터페이스로만 전달됩니다.

이는 마치 여러 지점을 가진 프랜차이즈 매장 중에서 가장 가까운 매장에 연락하는 것과 같습니다.

 

애니캐스트의 주요 활용 예

  • DNS 서버 (예: 루트 DNS 서버)
  •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 로드 밸런싱 등

예를 들어, 세계 각지에 분산된 DNS 서버들이 동일한 애니캐스트 주소를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동으로 가장 가까운(네트워크 거리가 짧은) 서버에 연결됩니다.

 

IPv6의 도입 현황과 전망

IPv6는 이미 전 세계적으로 점진적으로 도입되고 있습니다. 주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콘텐츠 제공업체, 모바일 네트워크 등이 IPv6를 지원하고 있으며, 최신 운영체제와 네트워크 장비는 기본적으로 IPv6를 지원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네트워크와 서비스가 IPv4에 의존하고 있어, 완전한 전환까지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현재는 IPv4와 IPv6가 공존하는 이중 스택(Dual Stack)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미래에는 IoT 기기의 폭발적 증가, 5G 네트워크의 확산 등으로 인해 IPv6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마치며

IPv6는 단순히 주소 공간을 확장한 것을 넘어서, 인터넷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발전입니다. 보안성 향상, 네트워크 구성 간소화, 효율적인 라우팅 등 다양한 개선점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비록 IPv6 주소가 IPv4보다 길고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이러한 변화는 계속 성장하는 인터넷 환경에서 필수적인 진화 과정입니다. 앞으로 IP 주소에 대한 이해는 네트워크와 인터넷 기술을 다루는 데 있어 기본적인 지식이 될 것입니다.

728x90

'1일 1네트워크 > 제 3장: IP주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브넷 마스크란?  (0) 2025.03.12
공인IP와 사설IP의 차이, 그리고 폐쇄망이란?  (0) 2025.03.11
IP 주소란?  (0) 2025.03.10
IP란? (Internet Protocol이란?)  (1) 2025.03.06

서브넷 마스크란?

1. IP 주소: 네트워크부 대 호스트부

IP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장치를 식별하는 고유한 번호입니다. 마치 우리 집 주소가 특정 건물을 식별하는 것처럼요. IPv4 주소는 192.168.1.1과 같이 점으로 구분된 네 개의 숫자(각각 0-255 범위)로 구성됩니다.

하지만 IP 주소는 단순한 번호가 아닙니다. 실제로는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 네트워크부: 어느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지 알려주는 부분
  • 호스트부: 해당 네트워크 내에서 특정 장치를 식별하는 부분

실생활에 비유하자면, 아파트 주소를 생각해보세요.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23번길 45, 101동 202호"라는 주소가 있다면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23번길 45"는 네트워크부(아파트 단지)에 해당합니다.
  • "101동 202호"는 호스트부(특정 집)에 해당합니다.

 

2. 서브넷 마스크를 알기 쉽게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의 어느 부분이 네트워크를 나타내고, 어느 부분이 호스트를 나타내는지 구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가장 쉽게 이해하는 방법은 서브넷 마스크를 일종의 '필터' 또는 '템플릿'으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IP 주소의 각 비트에 이 마스크를 씌워서

  • 마스크 값이 1인 부분 → 네트워크 부분으로 해석
  • 마스크 값이 0인 부분 → 호스트 부분으로 해석

실생활 예시로 설명해보겠습니다. 우편배달부가 편지를 분류한다고 상상해보세요

  1. 우편배달부는 우선 '동네'로 분류합니다 (네트워크부)
  2. 그 다음 동네 내의 '집 번호'로 분류합니다 (호스트부)

서브넷 마스크는 우편배달부에게 "주소의 앞부분 X자리는 동네를 가리키고, 나머지는 집 번호야"라고 알려주는 지침서와 같습니다.

 

3. 서브넷 마스크 표기법

서브넷 마스크는 두 가지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점 십진법(Dotted Decimal) 표기법

이것은 IP 주소와 같은 형식으로, 255.255.255.0과 같이 표현합니다.

  • 255(이진수로 11111111)는 해당 부분이 네트워크 부분임을 나타냅니다.
  • 0(이진수로 00000000)은 해당 부분이 호스트 부분임을 나타냅니다.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표기법

IP 주소 뒤에 슬래시(/)와 숫자로 표현합니다. 이 숫자는 네트워크 부분의 비트 수를 나타냅니다. 예: 192.168.1.0/24

여기서 "/24"는 IP 주소의 처음 24비트가 네트워크 부분임을 의미합니다(즉, 255.255.255.0과 동일).

실생활 비유를 더 들자면, 우리나라 전화번호 체계를 생각해보세요

  • 02-1234-5678에서 '02'는 서울 지역을 나타내는 네트워크부
  • '1234-5678'은 개인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호스트부

만약 서브넷 마스크로 이 전화번호 체계를 표현한다면

  • 점 십진법으로는: 255.0.0.0 (첫 부분만 지역 코드)
  • CIDR 표기법으로는: /2 (처음 2자리가 지역 코드)

이렇게 서브넷 마스크는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이 어디로 가야 할지 결정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728x90

'1일 1네트워크 > 제 3장: IP주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v6이란?  (1) 2025.03.13
공인IP와 사설IP의 차이, 그리고 폐쇄망이란?  (0) 2025.03.11
IP 주소란?  (0) 2025.03.10
IP란? (Internet Protocol이란?)  (1) 2025.03.06

공인IP와 사설IP의 차이

1. 【전제】IP 주소란?

IP(Internet Protocol)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기기를 식별하는 고유한 숫자 주소입니다. 쉽게 말해, IP 주소는 디지털 세계의 '집 주소'와 같습니다. 우리가 택배를 보낼 때 정확한 주소가 필요하듯이, 인터넷에서도 데이터가 올바른 목적지에 도달하려면 고유한 주소가 필요합니다. IPv4의 경우 192.168.0.1과 같이 점으로 구분된 4개의 숫자로 구성됩니다.

 

예시: 휴대폰으로 친구에게 메시지를 보낼 때는 친구의 전화번호가 필요합니다. 마찬가지로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에 데이터를 보낼 때는 상대방의 '주소'인 IP 주소가 필요합니다. 이 주소가 없다면 여러분의 메시지는 인터넷의 바다에서 길을 잃게 됩니다!

1-1. IP 주소(IPv4) 고갈 문제

IPv4 주소 체계는 약 43억 개의 주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이 숫자가 매우 크게 느껴졌지만, 인터넷의 폭발적인 성장과 함께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 TV, 냉장고, 전구 등 모든 것이 인터넷에 연결되면서 IPv4 주소는 이미 고갈 상태에 이르렀습니다.

 

2. 글로벌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

2-1. 글로벌 IP 주소(공용 IP 주소)

글로벌 IP 주소(또는 공인 IP 주소)는 인터넷 상에서 전 세계적으로 유일하게 식별되는 주소입니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가 할당하며, 이 주소를 통해 인터넷에 직접 연결됩니다.

 

예시: 공인 IP는 여러분 집의 실제 도로명 주소와 같습니다. 전 세계 어디에서든 이 주소로 편지를 보내면 정확히 여러분의 집으로 배달됩니다. 마찬가지로, 공인 IP 주소는 인터넷의 '실제 주소'로, 전 세계 어디서든 이 주소로 데이터를 보내면 여러분의 네트워크에 도달합니다.

 

주요 특징

  • 인터넷에서 고유하게 식별됨 (전 세계에서 하나뿐인 주소)
  • ISP(예: KT, SKT, LG U+)에서 할당받음
  • 외부에서 접근 가능
  •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회사의 라우터/모뎀에 할당됨
  • 유료로 할당받는 경우가 많음

 

2-2. 자신의 IP 주소를 확인하는 방법(글로벌 IP 주소)

글로벌 IP 주소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인터넷 검색창에 "내 IP 주소"라고 검색
  2. 'whatismyip.com', 'ipchicken.com'과 같은 전문 웹사이트 방문

2-3. 사설 IP 주소

사설 IP 주소로컬 네트워크 내에서만 사용되는 IP 주소로,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지 않습니다.

 

예시: 사설 IP는 대형 아파트 단지 내의 동-호수와 같습니다. '101동 1502호'라는 주소는 해당 아파트 단지 내에서만 의미가 있고, 외부 사람은 이 정보만으로는 여러분을 찾아올 수 없습니다. 외부에서 여러분에게 뭔가를 배달하려면 아파트의 정확한 도로명 주소(공인 IP)와 함께 동-호수(사설 IP)가 필요합니다.

 

주요 특징

  • 로컬 네트워크 내에서만 유효함
  • 라우터가 자동으로 할당하거나 관리자가 수동으로 설정
  • 외부 인터넷에서 직접 접근 불가능
  • 다른 네트워크에서 동일한 사설 IP 주소를 사용해도 충돌이 없음 (서로 다른 아파트의 '101동 1502호'처럼)
  • 사설 IP 주소 범위:
    • 10.0.0.0 ~ 10.255.255.255 (10/8 prefix)
    • 172.16.0.0 ~ 172.31.255.255 (172.16/12 prefix)
    • 192.168.0.0 ~ 192.168.255.255 (192.168/16 prefix)

2-4. 자신의 IP 주소를 확인하는 방법(개인 IP 주소)

사설 IP 주소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Windows
    • 명령 프롬프트 실행 후 ipconfig 입력
    • '이더넷 어댑터' 또는 'Wi-Fi 어댑터'의 'IPv4 주소' 확인
  2. Mac
    • 시스템 환경설정 → 네트워크 → 연결된 네트워크 선택
    • 또는 터미널에서 ifconfig 명령 실행
  3. Linux
    • 터미널에서 ifconfig 또는 ip addr 명령 실행

 

3. 폐쇄망 환경이란?

폐쇄망 환경(Closed Network)은 외부 인터넷과 물리적으로 또는 논리적으로 완전히 분리된 네트워크 환경을 말합니다. 흔히 '인트라넷'이라고도 부릅니다.

 

예시: 폐쇄망은 외부와 완전히 단절된 섬과 같습니다. 섬 안에서는 사람들이 자유롭게 왕래하고 통신할 수 있지만, 외부 세계와는 연결이 차단되어 있습니다. 회사의 중요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외부 인터넷과 연결하지 않는 컴퓨터 네트워크가 바로 폐쇄망입니다.

 

3-1. 폐쇄망과 IP 주소

폐쇄망 환경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설 IP 주소만 사용합니다. 외부 인터넷과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공인 IP 주소가 필요 없습니다.

폐쇄망의 주요 특징

  • 외부 인터넷과 물리적으로 분리됨
  • 주로 군사, 금융, 의료, 정부 기관 등 높은 보안이 요구되는 곳에서 사용
  • 내부에서만 사용되는 자체 DNS, 메일 서버 등을 운영
  • 악성코드나 해킹 위험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
  • 사설 IP 주소체계를 자유롭게 구성 가능 (표준 사설 IP 범위를 벗어난 IP도 사용 가능)

 

예시: 신한은행이나 국방부 같은 조직은 중요한 데이터를 다루기 때문에 폐쇄망을 사용합니다. 이런 환경에서는 직원들이 인터넷 검색이나 외부 이메일을 사용할 수 없는 컴퓨터와, 제한된 외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별도의 컴퓨터를 따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2. 폐쇄망과 공인/사설 IP의 관계

폐쇄망 환경에서는:

  • 네트워크가 외부와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 공인 IP가 필요 없음
  • 내부에서는 사설 IP만으로 모든 통신이 이루어짐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와 같은 주소 변환 기술이 필요 없음
  • 외부 인터넷과 데이터 교환이 필요할 경우, 물리적으로 분리된 '망연계 시스템'을 통해 제한적으로 수행

이처럼 사설 IP와 공인 IP의 구분과 활용은 네트워크 보안과 효율적인 인터넷 자원 활용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홈 네트워크나 기업 네트워크에서는 제한된 공인 IP를 여러 기기가 공유하면서도 각 기기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728x90

'1일 1네트워크 > 제 3장: IP주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v6이란?  (1) 2025.03.13
서브넷 마스크란?  (0) 2025.03.12
IP 주소란?  (0) 2025.03.10
IP란? (Internet Protocol이란?)  (1) 2025.03.06

IP주소

IP 주소란?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한 번쯤은 들어본 'IP 주소'라는 용어.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인터넷의 핵심 개념이지만, 정확히 무엇인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오늘은 IP 주소의 개념부터 확인 방법까지 쉽게 알아보겠습니다.

 

1. IP 주소란? 알기 쉽게 해설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기기를 식별하는 고유한 번호입니다. 마치 우리 집에 우편물을 배달하기 위한 주소처럼,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가 어디로 가야 할지 알려주는 '디지털 주소'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실생활에 비유하자면, IP 주소는 전화번호와 비슷합니다. 친구에게 전화하려면 그 친구의 전화번호를 알아야 하듯이,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와 통신하려면 그 컴퓨터의 IP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IP 주소는 192.168.1.1과 같은 형태로 표현되며, 이를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라고 합니다. 최근에는 IPv6(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와 같은 형식)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2. IP 주소 규칙 ①: 중복되지 않음

IP 주소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중복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전 세계 어디에서도 완전히 동일한 공인 IP 주소를 가진 두 대의 컴퓨터는 존재할 수 없습니다. 만약 그렇다면 인터넷은 어떤 컴퓨터에 데이터를 보내야 할지 혼란스러워할 것입니다.

이것은 마치 국가 내에서 주민등록번호가 중복되지 않는 것과 비슷합니다. 각 사람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해서는 고유한 식별자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의 수가 급증하면서 IPv4 주소는 부족해졌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설 IP와 공인 IP 개념이 등장했습니다. 가정이나 사무실 내부에서는 같은 사설 IP가 다른 네트워크에서 중복해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인터넷으로 나갈 때는 공유기(라우터)를 통해 하나의 공인 IP로 변환됩니다.

 

3. IP 주소 규칙 ②: 표기 방법

IPv4 주소는 32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8비트씩 4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을 점(.)으로 구분하여 표기합니다. 각 8비트는 0부터 255까지의 숫자로 표현할 수 있어, IP 주소는 0.0.0.0부터 255.255.255.255까지의 범위를 가집니다.

예를 들어, 192.168.1.1이라는 IP 주소는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첫 번째 부분: 192 (이진수로 11000000)
  • 두 번째 부분: 168 (이진수로 10101000)
  • 세 번째 부분: 1 (이진수로 00000001)
  • 네 번째 부분: 1 (이진수로 00000001)

이렇게 점으로 구분된 십진수 표기법을 '점-십진 표기법(Dotted Decimal Notation)'이라고 합니다.

IPv6는 128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16비트씩 8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을 콜론(:)으로 구분하여 16진수로 표기합니다. 예를 들어,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와 같이 표현합니다.

 

4. IP 주소 규칙 ③: 네트워크부와 호스트부

IP 주소는 '네트워크부'와 '호스트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부는 기기가 속한 네트워크를 식별하고, 호스트부는 해당 네트워크 내에서의 특정 기기를 식별합니다.

이것은 마치 우편 주소에서 도시명(네트워크부)과 상세주소(호스트부)로 나누는 것과 비슷합니다. 도시명은 큰 지역을, 상세주소는 그 지역 내 특정 건물을 식별하죠.

 

4-1. IP 주소: 클래스 전체 주소

전통적으로 IP 주소는 A, B, C, D, E의 5개 클래스로 나누어졌습니다. 각 클래스마다 네트워크부와 호스트부의 비율이 다릅니다.

  • 클래스 A: 첫 번째 부분이 네트워크부, 나머지가 호스트부 (1.0.0.0 ~ 126.255.255.255)
    • 첫 번째 비트는 항상 0
    • 대규모 네트워크용 (16,777,214개의 호스트)
  • 클래스 B: 처음 두 부분이 네트워크부, 나머지가 호스트부 (128.0.0.0 ~ 191.255.255.255)
    • 첫 두 비트는 항상 10
    • 중간 규모 네트워크용 (65,534개의 호스트)
  • 클래스 C: 처음 세 부분이 네트워크부, 마지막 부분이 호스트부 (192.0.0.0 ~ 223.255.255.255)
    • 첫 세 비트는 항상 110
    • 소규모 네트워크용 (254개의 호스트)
  • 클래스 D: 멀티캐스트 주소 (224.0.0.0 ~ 239.255.255.255)
  • 클래스 E: 연구용 예약 주소 (240.0.0.0 ~ 255.255.255.255)

 

4-2. IP 주소: 클래스리스 주소(CIDR)

클래스 기반 주소 지정 방식의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해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이 도입되었습니다. CIDR에서는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부와 호스트부를 유연하게 나눌 수 있습니다.

CIDR 표기법에서는 IP 주소 뒤에 슬래시('/')와 네트워크 비트 수를 붙입니다. 예를 들어, 192.168.1.0/24는 처음 24비트가 네트워크부임을 의미합니다.

예시:

  • 192.168.1.0/24: 처음 24비트가 네트워크부 (192.168.1), 나머지 8비트가 호스트부
  • 10.0.0.0/8: 처음 8비트가 네트워크부 (10), 나머지 24비트가 호스트부

CIDR는 주소 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며, 네트워크 관리자가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 크기를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합니다.

 

5. IP 주소 확인 방법

각자의 기기가 현재 어떤 IP 주소를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운영체제마다 다릅니다. 여기서는 주요 플랫폼별 확인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5-1. Windows

Windows에서 IP 주소를 확인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명령 프롬프트(CMD)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1. 시작 메뉴에서 'cmd'를 검색하여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2. 명령 프롬프트 창에 ipconfig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3. 'IPv4 주소' 항목에서 현재 컴퓨터의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는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상태 > 속성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2. macOS

macOS에서는 다음과 같이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시스템 환경설정(System Preferences)을 열고 '네트워크(Network)'를 클릭합니다.
  2. 왼쪽 목록에서 현재 사용 중인 네트워크 연결(Wi-Fi 또는 이더넷)을 선택합니다.
  3. 오른쪽 패널에서 'IP 주소' 항목을 확인합니다.

또는 터미널을 열고 ifconfig 명령어를 입력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3. 리눅스

리눅스에서는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 중 하나를 사용하여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ifconfig (구형 시스템)
  2. ip addr 또는 ip a (최신 시스템)
  3. hostname -I (간단히 IP 주소만 표시)

각 명령어는 실행 결과에서 'inet' 또는 'inet addr' 항목 뒤에 나오는 숫자가 해당 인터페이스의 IPv4 주소입니다.

5-4. 스마트폰(Android/iOS)

Android:

  1. 설정 앱을 엽니다.
  2. '네트워크 및 인터넷' 또는 '연결' 항목을 탭합니다.
  3. 'Wi-Fi'를 탭합니다.
  4. 현재 연결된 Wi-Fi 네트워크를 길게 누르거나 설정 아이콘을 탭합니다.
  5. '고급' 또는 '네트워크 세부정보'에서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iOS:

  1. 설정 앱을 엽니다.
  2. 'Wi-Fi'를 탭합니다.
  3.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 이름 옆의 정보(i) 아이콘을 탭합니다.
  4. 'IP 주소'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728x90

'1일 1네트워크 > 제 3장: IP주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v6이란?  (1) 2025.03.13
서브넷 마스크란?  (0) 2025.03.12
공인IP와 사설IP의 차이, 그리고 폐쇄망이란?  (0) 2025.03.11
IP란? (Internet Protocol이란?)  (1) 2025.03.06

1. IP란? (Internet Protocol이란?)

인터넷 프로토콜(IP)은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규칙의 집합입니다. 마치 우리가 도로에서 운전할 때 지켜야 할 교통 규칙이 있는 것처럼, 인터넷이라는 디지털 고속도로에서도 데이터가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그리고 정확하게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이 필요합니다. 그것이 바로 IP입니다.

1.1 IP 역할: 이해하기

IP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주소 지정: 각 기기에 고유한 주소(IP 주소)를 부여하여 데이터가 어디로 가야 하는지 알려줍니다.
  2. 경로 설정(라우팅): 데이터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가는 최적의 경로를 찾습니다.
  3. 패킷 처리: 큰 데이터를 작은 조각(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고, 목적지에서 다시 조립합니다.

이것은 마치 우편 시스템과 유사합니다. 편지를 보낼 때 우리는 받는 사람의 주소를 적고(주소 지정), 우체국에서는 그 편지가 목적지에 가장 효율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경로를 결정하며(경로 설정), 큰 소포는 여러 개로 나누어 보내기도 합니다(패킷 처리).

 

2. IP란? ①IP 주소

IP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기기의 '디지털 주소'입니다. 마치 우리 집에 고유한 주소가 있는 것처럼,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 스마트폰, 서버 등은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사용되는 IP 주소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IPv4: 192.168.1.1과 같이 점으로 구분된 4개의 숫자로 이루어진 주소입니다. 각 숫자는 0~255 사이의 값을 가집니다. IPv4는 약 43억 개의 주소를 제공할 수 있지만, 인터넷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이미 거의 소진된 상태입니다.
  • IPv6: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와 같이 더 길고 복잡한 형태의 주소입니다. IPv6는 거의 무한대에 가까운 수의 주소를 제공할 수 있어 IPv4의 한계를 극복했습니다.

또한 IP 주소는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 공인 IP(Public IP): 인터넷 상에서 직접 접근 가능한 고유 주소입니다. 마치 여러분 집의 실제 도로명 주소와 같습니다.
  • 사설 IP(Private IP):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만 사용되는 내부 주소입니다. 하나의 공인 IP 아래에 여러 기기가 각각 다른 사설 IP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것은 마치 하나의 아파트 단지 안에 여러 호수가 있는 것과 같습니다.

 

3. IP란? ② 라우팅

라우팅은 데이터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가는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입니다. 인터넷은 수없이 많은 네트워크와 라우터들이 연결된 거대한 망입니다. 데이터가 이 복잡한 망을 통과하여 정확한 목적지에 도달하려면 경로를 잘 찾아야 합니다.

라우터라는 장비는 교통 경찰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라우터는 목적지 IP 주소를 확인하고, 해당 데이터가 가야 할 최적의 경로를 결정합니다. 이 과정에서 네트워크 상태, 혼잡도, 거리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합니다.

 

4. IP란? ③ 패킷 교환 방식(단편화)

인터넷에서 데이터는 '패킷'이라는 작은 조각으로 나뉘어 전송됩니다. 이것을 '패킷 교환 방식'이라고 합니다. 큰 파일이나 긴 메시지를 한 번에 보내기보다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보내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각 패킷에는 출발지 IP 주소, 목적지 IP 주소, 순서 번호 등의 정보가 포함됩니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패킷들은 각자 최적의 경로로 목적지까지 이동하고, 목적지에서는 순서 번호에 따라 원래 데이터로 재조립됩니다.

단편화(Fragmentation)는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패킷을 더 작은 조각으로 나누는 과정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네트워크는 큰 크기의 패킷을 처리할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IP는 패킷을 더 작게 나누어(단편화하여) 전송합니다.

이것은 마치 큰 가구를 이사할 때, 해당 가구가 문을 통과할 수 없다면 분해해서 옮기는 것과 유사합니다. 목적지에 도착한 후에는 다시 조립하여 원래의 형태로 만듭니다.

 

5. IP 헤더

IP 헤더는 각 패킷의 '주소 라벨'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우편물에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주소, 내용물의 특성 등을 적어두는 것처럼, IP 헤더에는 패킷의 전송에 필요한 중요한 정보들이 담겨 있습니다.

주요 IP 헤더 필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버전(Version): IPv4인지 IPv6인지를 나타냅니다.
  • 헤더 길이(Header Length): IP 헤더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 서비스 유형(Type of Service): 패킷의 우선순위를 나타냅니다.
  • 패킷 길이(Total Length): 패킷 전체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 식별자(Identification): 같은 데이터에서 분할된 패킷들을 구분하는 번호입니다.
  • 플래그(Flags): 패킷의 단편화 여부를 제어합니다.
  • 단편 오프셋(Fragment Offset): 원래 데이터에서 이 패킷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 생존 시간(Time To Live, TTL): 패킷이 네트워크에 머무를 수 있는 최대 시간으로, 무한 루프를 방지합니다.
  • 프로토콜(Protocol): 상위 계층 프로토콜(TCP, UDP 등)을 나타냅니다.
  • 헤더 체크섬(Header Checksum): 헤더의 오류를 검출하는 데 사용됩니다.
  • 출발지 IP 주소(Source Address): 보내는 측의 IP 주소입니다.
  • 목적지 IP 주소(Destination Address): 받는 측의 IP 주소입니다.
  • 옵션(Options): 추가적인 기능을 위한 선택적 필드입니다.
728x90

'1일 1네트워크 > 제 3장: IP주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v6이란?  (1) 2025.03.13
서브넷 마스크란?  (0) 2025.03.12
공인IP와 사설IP의 차이, 그리고 폐쇄망이란?  (0) 2025.03.11
IP 주소란?  (0) 2025.03.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