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넷 마스크란?

1. IP 주소: 네트워크부 대 호스트부

IP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장치를 식별하는 고유한 번호입니다. 마치 우리 집 주소가 특정 건물을 식별하는 것처럼요. IPv4 주소는 192.168.1.1과 같이 점으로 구분된 네 개의 숫자(각각 0-255 범위)로 구성됩니다.

하지만 IP 주소는 단순한 번호가 아닙니다. 실제로는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 네트워크부: 어느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지 알려주는 부분
  • 호스트부: 해당 네트워크 내에서 특정 장치를 식별하는 부분

실생활에 비유하자면, 아파트 주소를 생각해보세요.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23번길 45, 101동 202호"라는 주소가 있다면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23번길 45"는 네트워크부(아파트 단지)에 해당합니다.
  • "101동 202호"는 호스트부(특정 집)에 해당합니다.

 

2. 서브넷 마스크를 알기 쉽게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의 어느 부분이 네트워크를 나타내고, 어느 부분이 호스트를 나타내는지 구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가장 쉽게 이해하는 방법은 서브넷 마스크를 일종의 '필터' 또는 '템플릿'으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IP 주소의 각 비트에 이 마스크를 씌워서

  • 마스크 값이 1인 부분 → 네트워크 부분으로 해석
  • 마스크 값이 0인 부분 → 호스트 부분으로 해석

실생활 예시로 설명해보겠습니다. 우편배달부가 편지를 분류한다고 상상해보세요

  1. 우편배달부는 우선 '동네'로 분류합니다 (네트워크부)
  2. 그 다음 동네 내의 '집 번호'로 분류합니다 (호스트부)

서브넷 마스크는 우편배달부에게 "주소의 앞부분 X자리는 동네를 가리키고, 나머지는 집 번호야"라고 알려주는 지침서와 같습니다.

 

3. 서브넷 마스크 표기법

서브넷 마스크는 두 가지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점 십진법(Dotted Decimal) 표기법

이것은 IP 주소와 같은 형식으로, 255.255.255.0과 같이 표현합니다.

  • 255(이진수로 11111111)는 해당 부분이 네트워크 부분임을 나타냅니다.
  • 0(이진수로 00000000)은 해당 부분이 호스트 부분임을 나타냅니다.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표기법

IP 주소 뒤에 슬래시(/)와 숫자로 표현합니다. 이 숫자는 네트워크 부분의 비트 수를 나타냅니다. 예: 192.168.1.0/24

여기서 "/24"는 IP 주소의 처음 24비트가 네트워크 부분임을 의미합니다(즉, 255.255.255.0과 동일).

실생활 비유를 더 들자면, 우리나라 전화번호 체계를 생각해보세요

  • 02-1234-5678에서 '02'는 서울 지역을 나타내는 네트워크부
  • '1234-5678'은 개인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호스트부

만약 서브넷 마스크로 이 전화번호 체계를 표현한다면

  • 점 십진법으로는: 255.0.0.0 (첫 부분만 지역 코드)
  • CIDR 표기법으로는: /2 (처음 2자리가 지역 코드)

이렇게 서브넷 마스크는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이 어디로 가야 할지 결정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728x90

'1일 1네트워크 > 제 3장: IP주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v6이란?  (1) 2025.03.13
공인IP와 사설IP의 차이, 그리고 폐쇄망이란?  (0) 2025.03.11
IP 주소란?  (0) 2025.03.10
IP란? (Internet Protocol이란?)  (1) 2025.03.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