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04. CPU의 작동 원리

  • ALU는 계산하는 부품으로 레지스터를 통해 피연산자를 받아들이고,
  • 제어장치로부터 수행할 연산을 알려주는 제어신호를 받아들입니다.
  • 오버플로우: 연산 결과가 연산 결과를 담을 레지스터보다 큰 상황
  • 플래그: 연산 결과에 대한 추가적인 상태 정보
  • 제어장치
    • 첫째, 제어장치는 클럭 신호를 받아들입니다 (클럭: 시간단위)
    • 둘째, 제어장치는 ‘해석해야 할 명령어’를 받아들입니다
    • 셋째, 제어장치는 플래그 레지스터 속 플래그 값을 받아들입니다
    • 넷째, 제어장치는 시스템 버스, 그중에서 제어 버스로 전달된 제어 신호를 받아들입니다
    → 제어장치는 클럭신호, 명령어, 플래그, 제어신호를 받아들입니다
    • 제어장치는 CPU 내부와 외부로 제어 신호를 보냅니다
  • 레지스터
    • 프로그램 카운터: 메모리에서 가져올 명령어의 주소(=명령어 포인트)
    • 명령어 레지스터: 해석할 명령어, 이를 받아 들이고 해석한 뒤 제어신호 보냄
    •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메모리와 주고받을 값을 저장하는 레지스터
    • 범용 레지스터: 일반적인 상황에서 자유롭게 사용
    • 플래그 레지스터: 연산 결과 또는 CPU 상태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저장
  • 특정 레지스터를 이용한 주소 지정 방식
    • 스택 주소 지정 방식: 스택과 스택 포인터(스택의 최상단의 위치)를 이용한 주소 지정 방식
    • 변위 주소 지정 방식: 오퍼랜드 필드의 값과 특정 레지스터의 값을 더하여 유효 주소를 얻어내는 주소 지정 방식 (상대 주소 지정 방식, 베이스 레지스터 주소 지정 방식)
  • 명령어 사이클: 하나의 명령어를 처리하는 정형화 된 흐름
    • 인출 사이클, 실행 사이클, 간접 사이클
  • 인터럽트: 흐름에 따라 처리하다 간혹 흐름이 끊어지는 상황
    • 동기 인터럽트: CPU에 의해 발생(예외적인 상황, 프로그래밍 오류 등)
    • 비동기 인터럽트: 입출력장치에서 발생(하드웨어 인터럽트)
728x90

'코딩공부 > 컴퓨터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06. 메모리와 캐시 메모리  (0) 2024.10.24
Chapter05. CPU 성능 향상 기법  (0) 2024.10.24
Chapter03. 명령어  (2) 2024.10.24
Chapter02. 데이터  (1) 2024.10.23
Chapter01. 컴퓨터 구조 시작하기  (1) 2024.10.23

Chapter02. 데이터

컴퓨터는 0과 1밖에 이해하지 못하며 0과 1을 나타내는 가장 작은 단위를 비트(Bit)라고 함

바이트(Byte)는 8개의 비트를 묶은 단위

데이터는 이진수, 10진수, 16진수로 표현하는데,

이진수는 0b를 앞에 붙여서 이진수임을 표현할 수 있음 (0b1000)

16진수는 0x를 앞에 붙여 16진수임을 표현할 수 있음(0x15)

우리가 이해하기 편한 10진수 대신 16진수는 쓰는 이유는 “16진수와 2진수 변환하기 쉽기 때문”

16진수 : 1A2B

2진수 : 0001 1010 0010 1011

이진수를 십진수로 변환하는 것은 복잡하기에 이진수를 16진수로 표현함.

0과 1을 문자로 표현하는 방법

  • 문자 집합: 컴퓨터가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는 문자의모음
    • 예를 들어{a,b,c,d,e}인 경우 이해가능, 그외 불가능
  • 문자 인코딩: 문자를 0과 1로 변환하는 과정
  • 문자 디코딩: 0과 1로 이루어진 문자 코드를 사람이 이해하는 문자로 변환하는 과정
  • 아스키 코드: 초창기 문자 집합 중 하나로, 영어 알파벳과 아라비아 숫자, 일부 특수문자 포함
    • 총 128개의 문자를 표현(0~127)
728x90

'코딩공부 > 컴퓨터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06. 메모리와 캐시 메모리  (0) 2024.10.24
Chapter05. CPU 성능 향상 기법  (0) 2024.10.24
Chapter04. CPU의 작동 원리  (0) 2024.10.24
Chapter03. 명령어  (2) 2024.10.24
Chapter01. 컴퓨터 구조 시작하기  (1) 2024.10.23

Chapter01. 컴퓨터 구조 시작하기

명령어는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정보이고, 데이터는 명령어를 위해 존재하는 일종의 재료.

컴퓨터의 핵심부품은 중앙처리장치(CPU), 주기억장치(메모리),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

  • 메모리: 현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품
    •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메모리에 저장되어야 한다
    • 메모리는 현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한다
    • 메모리에 저장된 값의 위치로 주소를 알 수 있다
  • CPU: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읽어 들이고, 읽어 들인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부품
    • 산술논리연산장치(ALU) - 계산기
    • 레지스터 - CPU 내부의 작은 임시 저장 장치
    • 제어장치 - 제어신호라는 전기신호를 보내고 명령어를 해석하는 장치
    • CPU는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읽어들이고, 해석하고, 실행하는 장치다
    • CPU 내부에는 ALU, 레지스터, 제어장치가 있다
    • ALU는 계산기, 레지스터는 임시 저장 장치, 제어장치는 제어신호 발생 및 명령어 해석
  • 보조기억장치: 메모리는 가격이 비싸고, 용량이 적고, 전원이 꺼지면 정보를 잃음 → 메모리보다 저렴하고, 용량이 크고, 전원이 꺼져도 정보를 보관하는 장치
  • 입출력장치: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마이크처럼 컴퓨터 외부에 연결되어 컴퓨터 내부와 정보를 교환하는 장치
  • 메인보드: 메인보드에 다양한 부품을 연결하여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고, 이는 메인보드 내부에 버스라는 통로를 통해 가능함.
  • 시스템 버스
    • 주소 버스
    • 데이터 버스
    • 제어 버스

출처: [서적] 혼자공부하는 컴퓨터구조와 운영체제

728x90

'코딩공부 > 컴퓨터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06. 메모리와 캐시 메모리  (0) 2024.10.24
Chapter05. CPU 성능 향상 기법  (0) 2024.10.24
Chapter04. CPU의 작동 원리  (0) 2024.10.24
Chapter03. 명령어  (2) 2024.10.24
Chapter02. 데이터  (1) 2024.10.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