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대칭키 암호화암호화와 복호화같은 키를 사용하는 암호화 방식

비대칭키 암호화암호화와 복호화다른 를 사용하는 암호화 방식

 

1. 대칭키(비밀키) 암호화

  • 장점: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한 연산이 빨라 대용량 Data 암호화에 적합, 구현이 용이, 기밀성을 제공
  • 단점: 키를 교환해야하는 문제, 탈취 관리 걱정, 사람이 증가할 수록 키 관리가 어려움, 확장성 떨어짐
  • 하나의 비밀키를 서버&클라이언트 모두 함께 사용
  • 암호화와 복호화에 같은 키를 사용하는 방식
  • 비밀키 하나만 알아내면 암호화된 내용 해킹 가능
  •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키를 교환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어서 중간에 탈취 당해 해킹당할 수 있다.
    ( 위험한 이유 : 처음 상대방에게 대칭키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탈취당하면 통신내용 모두 해킹 가능)
  • 서로 키를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관리해야 할 키가 방대해질 수 있다.
    대칭키(비밀키)
더보기

대칭키 암호화의 종류

 

  • DES(Data Encryption Standard)는 대칭키 암호 중 하나인 64-비트 블록암호이며 56-비트 비밀키를 사용합니다.
  •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는 미국 표준 블록암호였던 DES의 안전성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2000년 미국 표준 블록암호로 채택된 128-비트 블록암호입니다.
  • 아리아(ARIA)는 전자상거래, 금융, 무선통신 등에서 전송되는 개인정보와 같은 중요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1999년 2월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한국의 암호 전문가들이 순수 한국 기술로 개발한 128-비트 블록암호입니다.
  • 시드(SEED)는 전자상거래, 금융, 무선통신 등에서 전송되는 개인정보와 같은 중요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1999년 2월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한국의 암호 전문가들이 순수 한국 기술로 개발한 128-비트 블록암호입니다.

 

 


2. 비대칭키(공개키) 암호화

  • 장점: 키분배 및 키 관리 용이, 기밀성/인증/부인 방지 기능 제공
  • 단점: 속도가 느림, 상대적으로 키의 길이가 길다
  • 공개키와 개인키(비밀키), 두개를 가지고 있음
  • 공개키는 모든 사람이 접근 가능한 키
  • 개인키는 각 사용자만이 가지고 있는 키
  • 공개키는 누구나 알 수 있지만, 그에 대응하는 개인키(비밀키)는 키의 소유자만이 알 수 있다. 특정 비밀키를 가 사용자만이 내용을 열어볼 수 있도록 하는 방식.
    (안전한 이유: 공개 키로 누구든지 암호화 해서 보낼 순 있지만, 복호화가 가능한건 개인키를 가진 사람뿐 - 반대상황도 가능)

비대칭키(공개키)

 

 


요약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