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onJS vs ES Module: 모듈 시스템 비교 💡
데이터센터 DCIM/FMS 개발자를 위한 간단 명료한 모듈 시스템 가이드입니다.
CommonJS와 ES Module 비교 🔄
CommonJS 📦
Node.js 환경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모듈 시스템입니다.
// math.js - 모듈 내보내기
function add(a, b) { return a + b; }
module.exports = { add };
// app.js - 모듈 가져오기
const math = require('./math');
console.log(math.add(5, 3)); // 8
특징:
- ✅ 동기적 로딩: 모듈이 로드될 때까지 코드 실행 중지
- ✅ Node.js에 최적화: 서버 환경에서 주로 사용
- ✅ 런타임에 모듈 해석: 동적 로딩 가능
ES Module 🚀
공식 JavaScript 표준 모듈 시스템 (ES6부터 도입)
// math.js - 모듈 내보내기
export function add(a, b) { return a + b; }
// app.js - 모듈 가져오기
import { add } from './math.js';
console.log(add(5, 3)); // 8
특징:
- ✅ 비동기적 로딩: 병렬 로딩으로 성능 향상
- ✅ 정적 분석 가능: 빌드 타임에 분석 가능
- ✅ 트리 쉐이킹: 사용하지 않는 코드 제거 가능
실무에서의 선택 🛠️
Next.js 프로젝트에서는?
Next.js 13+ 버전에서는 ES Module을 권장합니다. App Router를 사용할 때 특히 ESM 방식이 더 적합합니다.
// NextJS 컴포넌트에서 데이터센터 모듈 가져오기
import { RackMonitor } from '@/components/dcim/monitors';
import { useRackData } from '@/hooks/dcim';
export default function DcimDashboard() {
const { racks, loading } = useRackData();
return <RackMonitor data={racks} isLoading={loading} />;
}
혼합 프로젝트에서는?
Node.js와 React를 함께 사용하는 풀스택 프로젝트에서는:
- package.json에 "type": "module" 추가하면 ESM을 기본으로 사용
- .mjs 확장자를 사용하면 명시적으로 ESM으로 취급
- .cjs 확장자를 사용하면 명시적으로 CommonJS로 취급
DCIM/FMS 개발자를 위한 팁 💼
- ⚡ 서버 API 엔드포인트: Node.js 16+ 환경이라면 ESM 사용이 트렌드
- 📊 데이터 시각화 컴포넌트: 트리 쉐이킹으로 번들 크기 줄이려면 ESM 유리
- 🔄 레거시 코드베이스: CommonJS와 ESM 혼합 사용 시 esm 패키지 활용
요약 📝
- CommonJS는 동기적, 서버 중심이며 require()/module.exports 사용
- ES Module은 비동기적, 브라우저/서버 호환되며 import/export 사용
- 최신 프로젝트는 트리 쉐이킹, 더 나은 성능을 위해 ESM을 선호하는 추세
데이터센터 모니터링 시스템과 같은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모듈 시스템의 선택이 성능과 코드 유지보수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CommonJS와 ES Module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CommonJS와 ES Module(ESM) 은 자바스크립트에서 모듈을 관리하고 불러오는 두 가지 주요 방식입니다.
먼저 CommonJS는 주로 Node.js 환경에서 사용되며, 모듈을 동기적으로 불러옵니다. 즉, 모듈이 로드될 때까지 다음 코드가 실행되지 않는 방식입니다. CommonJS는 require 키워드를 사용해 모듈을 가져오고, module.exports를 통해 내보냅니다. 이 방식은 주로 서버측에서 사용 됐지만, 클라이언트 환경에서도 번들러를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ES Module은 자바스크립트의 공식 표준 모듈 시스템으로, ECMAScript 2015(ES6)부터 도입되었습니다. ESM은 브라우저와 Node.js 환경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모듈을 비동기적으로 로드합니다. 모듈을 가져올 때는 import 키워드를 사용하고, 내보낼 때는 export를 사용합니다. 또한, ESM은 정적 분석이 가능해, 트리 쉐이킹과 같은 최적화 작업에도 유리합니다.
정리하자면, CommonJS는 주로 동기적이고 서버 측에서 많이 사용되며,ESM은 비동기적이고 브라우저와 서버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Node.js에서도 최근에는 ESM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Node.js는 버전 12부터 네이티브로 ESM을 지원하기 시작했으며, 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모듈 호환성을 위해 풀스택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도 ESM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ESM은 비동기적 로딩과 트리 쉐이킹 같은 최적화 작업에 유리하다는 점에서 점점 더 선호되고 있습니다.
'1일 1CS(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벤트 전파(event propagation)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0) | 2025.04.21 |
---|---|
동기와 비동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0) | 2025.04.21 |
동기 방식으로 외부 서비스를 호출할 때 외부 서비스 장애가 나면 어떻게 조치할 수 있나요? (0) | 2025.04.16 |
자바스크립트 함수에 대해서 아는대로 설명해주세요. (1) | 2025.04.16 |
자바스크립트의 고급 메소드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1)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