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REST란?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해 해당 자원의 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 = 자원 (resource)의 표현 (representation)에 의한 상태 전달을 뜻함 (네트워크 상의 Client와 Server 사이의 통신 방식 중 하나)

 

  • 정의
    • 자원: 해당 SW가 관리하는 모든 것 (문서, 그림, 데이터 등)
    • 표현: 그 자원을 표현하기 위한 이름 (예: 학생 정보가 자원이라면 ‘students’ 등)
    • 상태 전달: 데이터가 요청되는 시점에 자원의 상태를 전달 (JSON 혹은 XML)
  • 개념
    • 어떤 자원에 대해 CRUD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URI (Resource)로 GET, POST 등의 방식 (Method)을 사용하여 요청을 보내면, 요청을 위한 자원은 특정한 형태 (Representation of Resource)로 표현
      • URI: Uniform Resource Locator로 인터넷 상 자원의 위치
      • URL : Uniform Resource Identifier로 인터넷 상의 자원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열의 구성 
  • 구성 요소
    • 자원 (Resource) - URI
      • 모든 자원에는 고유한 ID가 존재하고, 이 자원은 Server에 존재함
      • 자원을 구별하는 ID는 '/exgroups/:exgroup_id'와 같은 HTTP URI 임
      • Client는 URI를 이용해 자원을 지정하고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에 대한조작을 Server에 요청
    • 행위 (Verb) - Method
      • HTTP 프로토콜의 Method(GET, POST, PUT, PATCH, DELETE)를 사용
      • 표현 (Representation of Resource)
        • Client와 Server가 데이터를 주고받는 형태로 JSON, XML, TEXT, RSS 등이 있음
        • JSON, XML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이 일반적
    • Server-Client (서버-클라이언트 구조)
      • 자원이 있는 쪽이 Server, 자원을 요청하는 쪽이 Client가 된다.
        • REST Server: API를 제공하고 비즈니스 로직 처리 및 저장을 책임짐
          • Client: 사용자 인증이나 context(세션, 로그인 정보) 등을 직접 관리하고 책임짐
      • 서로 간 의존성이 줄어듬
    • Stateless (무상태)
      • HTTP 프로토콜은 Stateless Protocol이므로 REST 역시 무상태성을 가짐
      • Client의 context를 Server에 저장하지 않음
        • 즉, 세션과 쿠키와 같은 context 정보를 신경쓰지 않아도 되므로 구현이 단순해짐
      • Server는 각각의 요청을 완전히 별개의 것으로 인식하고 처리
        • 각 API 서버는 Client의 요청만을 단순 처리
        • 즉, 이전 요청이 다음 요청의 처리에 연관되어서는 안 됨
        • 물론 이전 요청이 DB를 수정하여 DB에 의해 바뀌는 것은 허용
        • Server의 처리 방식에 일관성을 부여하고 부담이 줄어들며, 서비스의 자유도가 높아짐
    • Cacheable (캐시 처리 가능)
      • 웹 표준 HTTP 프로토콜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웹에서 사용하는 기존의 인프라를 그대로 활용 가능
        • 즉, HTTP가 가진 가장 강력한 특징 중 하나인 캐싱 기능을 적용할 수 있음
        • HTTP 프로토콜 표준에서 사용하는 Last-Modified 태그나 E-Tag를 이용하면 캐싱 구현이 가능
      • 대량의 요청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캐시가 요구됨
      • 캐시 사용을 통해 응답시간이 빨라지고 REST Server 트랜잭션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 응답시간, 성능, 서버의 자원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
    • Layered System (계층화)
      • Client는 REST API Server만 호출한
      • REST Server는 다중 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음
        • API Server는 순수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고 그 앞단에 보안, 로드밸런싱, 암호화, 사용자 인증 등을 추가하여 구조상의 유연성을 줄 수 있음
        • 또한 로드밸런싱, 공유 캐시 등을 통해 확장성과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
      • PROXY, 게이트웨이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중간 매체를 사용할 수 있음
    • Code-On-Demand (optional)
      • Server로부터 스크립트를 받아서 Client에서 실행
      • 반드시 충족할 필요는 없음
    • Uniform Interface (인터페이스 일관성)
      • URI로 지정한 Resource에 대한 조작을 통일되고 한정적인 인터페이스로 수행
      • HTTP 표준 프로토콜에 따르는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이 가능
        • 특정 언어나 기술에 종속되지 않음특징

  • 장점
    • HTTP 프로토콜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별도의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없음
    • HTTP 프로토콜에 따르는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 Hypermedia API의 기본을 지키면서 범용성을 보장 (*hypermedia -얽혀있는 정보: 복잡한것, 바뀌는것, 확실하지 않은것을 위한 파일 구조(그래픽, 오디오, 영상, 텍스트 등))
    • 의도하는 바를 명확하게 나타내므로 쉽게 파악 할 수 있다.
    •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명확하게 분리한다.
  • 단점
    • 표준이 존재하지 않는다
    • Method의 형태가 제한적이다.

 

  • 설계 기본 규칙
    • 도큐먼트 : 객체 인스턴스나 데이터베이스 레코드, 컬렉션 내의 구체적인 맴버
    • 컬렉션 : 서버에서 관리하는 디렉터리
    • 스토어 클라이언트에서 관리하는 리소스 저장소
    1. URI는 자원을 표현해야함
      • 동사보다는 명사, 대문자보다는 소문자 이용
      • 도큐먼트 이름 = 단수 명사 이용
      • 컬렉션 이름 = 복수 명사 이용
      • 스토어 이름 = 복수 명사 이용 ex) GET /Member/1 -> GET /members/1 --- members(컬렉션), 1(도큐먼트)
    2. 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Method로 표현
      • URI에 Method가 들어가면 안된다.
      • URI에 행위에 대한 동사 표현이 들어가면 안된다.
      • 경로 부분 중 변하는 부분은 유일 값으로 대체한다. id 등
    3. 마지막 문자로 / 를 넣지 않는다.
    4. 불가피하게 긴 경로를 사용할 경우 (-)을 사용해가독성을 높이며 (_)은 이용하지 않는다.
    5. 확장자는 URI에 포함하지 않는다.

 

  • REST아키텍처 스타일을 따르는 API -> REST API
  • REST아키텍처를 완전하게 따라 만들어진 API -> RESTful API
  • REST아키텍처를 구현하는 웹 서비스 -> RESTful 웹서비스

 

예시코드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app.use(express.json());

let books = [
  { id: 1, title: 'Book 1', author: 'Author 1'},
  { id: 2, title: 'Book 2', author: 'Author 2'},
  { id: 3, title: 'Book 3', author: 'Author 3'}
];

app.get('/books', (req, res) => {
  res.json(books);
});

app.get('/books/:id', (req, res) => {
  const book = books.find(b => b.id === parseInt(req.params.id));
  if (!book) res.status(404).send('The book with the given ID was not found.');
  res.send(book);
});

app.post('/books', (req, res) => {
  const book = {
    id: books.length + 1,
    title: req.body.title,
    author: req.body.author
  };
  books.push(book);
  res.send(book);
});

app.put('/books/:id', (req, res) => {
  const book = books.find(b => b.id === parseInt(req.params.id));
  if (!book) res.status(404).send('The book with the given ID was not found.');

  book.title = req.body.title;
  book.author = req.body.author;

  res.send(book);
});

app.delete('/books/:id', (req, res) => {
  const book = books.find(b => b.id === parseInt(req.params.id));
  if (!book) res.status(404).send('The book with the given ID was not found.');

  const index = books.indexOf(book);
  books.splice(index, 1);

  res.send(book);
});

const port = process.env.PORT || 3000;
app.listen(port, () => console.log(`Listening on port ${port}...`));

이 코드는 REST 아키텍처 원칙을 따르는 API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RESTful API의 핵심 원칙은 자원(Resource), 행위(Verb), 표현(Representation)입니다. 이 코드에서는 책(Book)이라는 자원에 대한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 연산을 HTTP 메서드를 통해 수행하고 있습니다.

  1. 자원(Resource): 이 코드에서 자원은 책(Book)입니다. 각 책은 고유한 ID를 가지며, 이를 통해 책을 식별하고 접근할 수 있습니다.
  2. 행위(Verb): HTTP 메서드(GET, POST, PUT, DELETE)를 사용하여 책에 대한 CRUD 연산을 수행합니다.
    • GET /books: 모든 책의 목록을 가져옵니다.
    • GET /books/:id: 특정 ID의 책을 가져옵니다.
    • POST /books: 새로운 책을 추가합니다.
    • PUT /books/:id: 특정 ID의 책 정보를 업데이트합니다.
    • DELETE /books/:id: 특정 ID의 책을 삭제합니다.
  3. 표현(Representation):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받는 형태입니다. 이 코드에서는 JSON 형식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습니다.

또한, 이 코드는 Stateless(무상태성) 원칙도 따르고 있습니다. 각 요청은 독립적으로 처리되며,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코드는 REST 아키텍처 원칙에 따라 설계된 API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상호작용을 단순화하고, 확장성과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이것이 위의 코드가 RESTful API로 설계된 이유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