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란 컴퓨터와 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정보와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
- [네트워크] = 여러가지 기기가 서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구조
- 상호 통신을 위해서는 공통 규칙 필요
- 인터넷은 세계 공통 규칙으로 운영되는 세계 최대 네트워크
역사 1: 네트워크가 성립한 배경
- 컴퓨터가 등장한 초기에는 1대의 컴퓨터가 독립해 기능하고 있음
- 컴퓨터가 발명되고 점점 더 많은 장면에서 데이터와 리소스 공유가 필요해짐
역사 2: APRANET 등장
-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원격지에서의 정보 공유 및 컴퓨터 자원 이용 목적
- 패킷 교환이라는 통신 방식 확립
역사 3: 인터넷
- 전 세계 컴퓨터 네트워크가 서로 연결되는 인터넷 탄생
- 인터넷이라고 해도 결국 하나 하나의 디바이스가 상호 접속된 것
역사 4: 프로토콜
- 전 세계적으로 컴퓨터와 장치가 통신하려면 장치가 서로 정해진 규칙에 따라 통신해야함
- 이 때문에 세계 전체에서 통신 프로토콜 정의
- 네트워크 엔지니어의 공부라면 이 통신 프로토콜의 학습하는 것
네트워크의 주요 구성 요소
프로토콜
TCP/IP · HTTP · FTP · DHCP · DNS 등 데이터 통신과 관련된 프로토콜을 이해한다.
네트워크 토폴로지
스타, 버스, 링, 메쉬, 트리 등 네트워크의 물리적 및 논리적 구조를 배웁니다.
네트워크 장치
중계기 , 스위치, 라우터 , 방화벽 , 액세스 포인트 등 네트워크 장치의 기능과 구성 방법을 습득합니다.
IP 주소 및 서브넷 마스크
IPv4 및 IPv6 주소 , 서브넷 마스크 , CIDR 표기법, 서브넷 분할 방법을 이해합니다.
DNS(Domain Name System)
DNS 메커니즘, A 레코드, CNAME 레코드, MX 레코드 등의 기본 레코드 유형을 배웁니다.
라우팅 프로토콜
OSPF , RIP , BGP 등의 라우팅 프로토콜의 기본 원리와 설정 방법을 습득한다.
네트워크 보안
방화벽, VPN, 암호화, 인증, IDS/IPS 등 네트워크 보안을 보장하기 위한 기술과 정책을 배웁니다.
무선 네트워크
Wi-Fi의 규격, 무선 주파수, 채널, 액세스 포인트, SSID, 암호화 방식(WPA2/WPA3) 등을 이해한다.
문제 해결
ping, traceroute, nslookup, Wireshark 등 네트워크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기 위한 도구와 방법을 습득한다.
네트워크 설계 및 관리
네트워크 아키텍처, 대역폭 관리, QoS, 트래픽 쉐이핑, 내결함성, 네트워크 모니터링 등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네트워크 시
스템을 구축하고 유지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정리
정의 : 디바이스끼리를 접속해, 데이터나 자원의 공유·교환을 하는 시스템.
통신 프로토콜 : TCP/IP: 인터넷의 기본 프로토콜입니다.
HTTP/HTTPS: 웹 페이지를 검색하는 데 사용됩니다.
FTP: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SMTP, IMAP, POP3: 이메일 송수신과 관련된 프로토콜.
네트워크 유형 : LAN(Local Area Network): 소규모 범위(사무실 및 가정)의 네트워크.
WAN (Wide Area Network) : 대규모 범위 (도시와 국가 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1일 1네트워크 > 제 1장: 네트워크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피터 / 리피터 허브란? (0) | 2025.02.18 |
---|---|
이더넷(Ethernet)이란? (0) | 2025.02.14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란? (0) | 2025.02.13 |
LAN과 WAN (0) | 2025.02.12 |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란?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