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브리지란?
OSI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작동하는 네트워크 장비입니다. 데이터의 목적지(헤더 정보)의 MAC 주소를 참조하여 적절한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활을 담당합니다.
데이터의 프레임(헤더 정보)를 참조하여 데이터를 최소한으로 한정하는 것이 브리지의 주된 역활의 하나입니다.
스위치란?
마찬가지로 OSI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장비입니다.
브리지와 스위치의 가장 큰 차이점은 ‘스위치가 더 많은 포트를 가지고 있다는 것’ 입니다.
물론 그 밖에도 처리 속도, 데이터 전송의 처리 방식 등 섬세한 차이점은 있지만, 기본적으로 브리지와 스위치는 같은 기능을 하는 네트워크 기기로 많은 포트를 가지고 있는 브리지가 스위치라고 불리는구나! 라고 이해해도 좋습니다.
요약
- 정의
- 브리지: 네트워크 장치에서 동일한 네트워크의 세그먼트 간 트래픽을 전달합니다. 브리지는 MAC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 스위치: 브리지에서 진화한 네트워크 장치로 장치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스위치는 MAC 주소를 기반으로 작동하지만 각 포트에 연결된 장치의 MAC 주소를 학습하고 효율적으로 트래픽을 전달합니다.
- 동작 레이어
- 브리지: 주로 데이터 링크 계층(레이어 2)에서 작동합니다.
- 스위치: 주로 데이터 링크 계층 (Layer 2)에서 동작하지만, 멀티 계층 스위치와 같이 네트워크 계층 (Layer 3)에서 동작하는 것도 존재한다.
- 학습 능력
- 브리지: 기본적으로 소수의 MAC 주소만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스위치: 많은 MAC 주소를 학습하고 스위칭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 확장성
- 브리지: 확장성에 제한이 있습니다.
- 스위치: 대규모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많은 포트가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1일 1네트워크 > 제 1장: 네트워크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디어 공유/비공유 네트워크의 차이점 (0) | 2025.02.24 |
---|---|
L3 스위치란? (0) | 2025.02.20 |
리피터 / 리피터 허브란? (0) | 2025.02.18 |
이더넷(Ethernet)이란? (0) | 2025.02.14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란? (0)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