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미디어 공유/비공유 네트워크의 차이점

미디어 공유 네트워크 (Shared Media Network)
개념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통신 매체(미디어)를 공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네트워크입니다.

실생활 비유: 아파트 공동 현관 인터폰
- 모든 주민이 하나의 인터폰 시스템을 공유
- 한 번에 한 세대만 방문자와 통화 가능
- 다른 세대가 사용 중이면 기다려야 함

대표적인 예시
1. 공용 WiFi
   - 카페에서 여러 손님이 하나의 WiFi 공유
   - 사용자가 많을수록 속도 저하
   - 대역폭을 나눠써야 함

2. 공동 주택의 케이블 TV 선로
   - 한 건물의 여러 가구가 동일 케이블 회선 공유
   - 피크 시간대 화질/속도 저하 가능성

3. 사무실 이더넷 허브
   - 여러 직원이 같은 네트워크 대역폭 공유
   - 대용량 파일 전송 시 전체 네트워크 영향

미디어 비공유 네트워크 (Non-shared Media Network)

개념
각 사용자가 독립된 통신 경로를 가지며, 다른 사용자의 통신에 영향을 받지 않는 네트워크입니다.

실생활 비유: 아파트 각 세대의 초인종
- 각 세대마다 독립된 초인종 보유
- 다른 집의 초인종 사용과 무관하게 사용 가능
- 간섭이나 대기 없음

대표적인 예시
1. 전용선 인터넷
   - 기업에서 사용하는 전용 회선
   - 다른 사용자와 대역폭 공유하지 않음
   - 안정적인 속도 보장

2. 가정용 광케이블 (FTTH)
   - 각 가정까지 독립된 광케이블 연결
   - 이웃의 사용량에 영향받지 않음
   - 일관된 속도 제공

3. 전용 전화선
   - 기업의 내선전화
   - 독립된 회선으로 통화 품질 보장
   - 외부 간섭 없음

주요 차이점 비교

1. 성능 측면
   - 공유: 사용자가 많을수록 성능 저하
   - 비공유: 일관된 성능 유지

2. 비용 측면
   - 공유: 상대적으로 저렴한 구축/운영 비용
   - 비공유: 높은 구축 비용but 안정적 서비스

3. 보안 측면
   - 공유: 보안 취약 가능성 높음
   - 비공유: 상대적으로 높은 보안성

4. 확장성 측면
   - 공유: 사용자 증가에 따른 성능 저하
   - 비공유: 안정적인 확장 가능

실제 활용 사례
미디어 공유 네트워크 활용
1. 대학 캠퍼스 WiFi
   - 많은 학생이 공용 WiFi 사용
   - 비용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축
   - 피크 시간 속도 저하 감수

2. 공공장소 무료 인터넷
   - 도서관, 카페 등의 공용 네트워크
   - 여러 사용자의 기본적인 인터넷 사용 지원

미디어 비공유 네트워크 활용
1. 금융권 네트워크
   - 은행의 중요 데이터 전송
   - 전용선으로 보안과 안정성 확보
   - 일관된 서비스 품질 보장

2. 방송국 중계선
   - 실시간 방송 송출용 전용 회선
   - 끊김 없는 안정적 전송 필요
   - 높은 대역폭 보장

선택 기준
1. 공유 네트워크 선택 시
   - 비용이 중요한 경우
   - 일시적인 성능 저하 허용 가능
   - 다수의 일반 사용자 대상

2. 비공유 네트워크 선택 시
   - 안정적인 서비스가 필수
   - 보안이 중요한 경우
   - 고품질 서비스 요구

728x90
반응형

'1일 1네트워크 > 제 1장: 네트워크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L3 스위치란?  (0) 2025.02.20
브리지와 스위치란?  (0) 2025.02.19
리피터 / 리피터 허브란?  (0) 2025.02.18
이더넷(Ethernet)이란?  (0) 2025.02.1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란?  (0) 2025.02.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