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1네트워크/제 6장: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

Telnet과 SSH란?

표자 2025. 4. 9. 08:56

🌐 Telnet과 SSH: 원격 접속의 세계로 떠나는 여행 🚀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컴퓨터 네트워크의 세계에서 중요한 두 가지 도구인 Telnet과 SSH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초보자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드릴게요! 😊

📞 Telnet - 네트워크의 할아버지

Telnet은 1969년에 개발된 아주 오래된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원격 컴퓨터에 접속하여 명령을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 Telnet의 특징

  •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 제공
  • 간단한 구조로 작동
  • 보안이 취약함 (데이터가 암호화되지 않고 일반 텍스트로 전송) ⚠️
  • 포트 23번 사용

🧩 Telnet 사용 예시

telnet example.com 23
Connected to example.com.
login: username
Password: (비밀번호가 그대로 보임)
Welcome to Example Server!

Telnet을 사용하면 마치 다른 컴퓨터 앞에 직접 앉아 있는 것처럼 원격으로 명령을 실행할 수 있어요. 하지만 비밀번호를 포함한 모든 정보가 암호화 없이 전송되기 때문에, 누군가 네트워크 트래픽을 엿보면 중요한 정보가 노출될 수 있습니다. 😱

 

🔒 SSH - 안전한 원격 접속의 슈퍼히어로

SSH(Secure Shell)는 1995년에 개발된 프로토콜로, Telnet의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 SSH의 특징

  • 강력한 암호화 제공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 🛡️
  • 사용자 인증 강화
  • 포트 포워딩, 파일 전송 등 다양한 기능 지원
  • 포트 22번 사용

🧩 SSH 사용 예시:

ssh username@example.com
The authenticity of host 'example.com' can't be established.
Are you sure you want to continue connecting (yes/no)? yes
username@example.com's password: (입력한 비밀번호가 화면에 표시되지 않음)
Welcome to Example Server!

🥊 Telnet vs SSH: 차이점 비교

항목 Telnet 📞 SSH 🔒

보안 ❌ 암호화 없음 ✅ 강력한 암호화
개발 연도 1969년 1995년
기본 포트 23 22
비밀번호 보호 ❌ 텍스트로 전송 ✅ 암호화 전송
현대적 사용 거의 사용하지 않음 널리 사용됨

🎭 실생활 비유로 이해하기

Telnet은 마치 유리창이 있는 우체통에 중요한 편지를 넣는 것과 같습니다. 누구나 들여다보면 내용이 보이죠! 😬

SSH는 특수 잠금장치가 달린 튼튼한 금고와 같습니다. 열쇠가 있는 사람만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요! 🔐

📝 결론

현대의 인터넷 환경에서는 보안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Telnet보다는 SSH를 사용하는 것이 강력히 권장됩니다. 많은 서버와 시스템들이 이미 Telnet 접속을 차단하고 SSH만 허용하고 있습니다.

728x90

'1일 1네트워크 > 제 6장: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 카테고리의 다른 글

NTP(Network Time Protocol)란?  (0) 2025.04.09
SNMP란?  (0) 2025.04.08
DHCP와 DHCP 릴레이란?  (0) 2025.04.08
DNS란?  (0) 2025.04.07
MIME와 MIME타입이란?  (0)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