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41

WIL: Week I Learned 7주차 [프로젝트]

TIL의 회고 : 이번주 알게 된 점 총정리 이론만 3주공부하고 드디어 프로젝트 기간 우선은 당연하지만 사람마다 다른 실력을 가지고 있기에 역활분배, 회의 등 소통이 많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그리고 내 실력도 많이 부족하기에 다음 프로젝트땐 폐가 안되기 위해서 더 열심히 해야겠다란 생각이 들었다. 시퀄라이즈, 디비연동, 아키텍처 패턴 등 다양한 이론을 실제로 사용해볼수있었고, 직접 코드도 짜보면서 내껄로 만들어 가는 과정이 좋았다. 이번 주 목표 달성 여부 저번 프로젝트보단 팀에 기여를 많이 한것 같아 좋았다. 라우터의 한 부분도 직접 만들었고, 프론트 부분이 html도 많이 작성해서 팀에 기여 할 수 있는 부분도 좋았고 결론적으로 내가 생각한 만큼의 결과물을 만들 수 있어서 만족 다음 주 목표 세우기 ..

일기/WIL(Sun) 2023.01.06

TIL: Today I Learned 40일차 [프로젝트 완료]

1. 문제점 다른 조들의 발표를 보니 우리조의 모자란 점을 찾을 수 있었다. 우선 레이어드 아키텍처 패턴와 테스트 코드 2. 시도해본 것들 먼저 레이어드 아키텍처를 하고 기능 구현을 시작했어야 했는데 다 만들고나서 마지막날 패턴을 만들려고하니 어려웠다. 그래도 팀원끼리 1~2개의 분리를 시킬 수 있었으나 시간이 너무 오래걸려서 포기 3. 해결과정 다른조에서 이미 완성한 경험이 있는 동기를 불러와서 강의시킴 4. 알게 된 점 레이어드 아키텍처를 쓰면 참 코드가 간결해지는구나 쓸수만 있으면 좋겠다란 생각이 들었다. 테스트 코드는 강의에선 쉽게 보였지만 실제 사용한 다른조 코드를 보니 엄두가 나지 않는다.

일기/TIL 2023.01.06

테스트코드 jest

테스트코드란? 내가 생각한 대로 동작하는지 작성하는 코드 설치코드 npm i jest -D 파일명 관례 일반적인 관례로 테스트할파일이름.spec.js 와 같은 형식으로 파일을 만듭니다. 기본함수 test(): 단위 테스트를 묶어주는 함수입니다. expect(): 특정 값이 만족되는지(정상적인지) 확인하기 위한 표현식을 작성할수 있게 해주는 함수입니다. 환경구성 패키지.json에서 수정 scripts: {"test" : "jest"} 실행코드 npm run test 위에는 예제코드 다른팀의 실제 테스트코드 상황

TIL: Today I Learned 38일차 [코드분석]

1. 문제점 오늘도 프로젝트에 필요한 HTML을 작성하고, 다른 팀원이 작성한 기능들은 어떻게 만들었는지 궁금했다. 2. 시도해본 것들 3. 해결과정 깃에서 git pull 받은후, 코드에 일일히 주석을 달아가면서 내용을 분석하고 있다. 4. 알게 된 점 강의를 듣고 개념공부하는 것도 좋지만 역시 코드를 뜯어보는게 직접 코딩하는 것보다 많은 도움이 되는 것 같다. // 유저 로그인 페이지 router.post("/login/guest", async (req, res) => { // body에서 입력받은 로그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가져온다 const { login_id, login_pw } = req.body; try { // Guest데이터에서 로그인아이디가 로그인 아이디인 것에 대한 정보들을 guest..

일기/TIL 2023.01.04

TIL: Today I Learned 37일차 [HTML은 어려워~]

1. 문제점 프로젝트에서 필요한 HTML이 많았다..! 간만에 만져보는데 역시 수평수직 중앙정렬도 헷갈리고 그외는 어떻게 분리해야할지 헷갈렸다. 2. 시도해본 것들 구글링도 해보고, AI에게 물어보기도 했다. 기본적으로 flex 세트를 썼지만 잘 먹히지 않았다. 3. 해결과정 예전에 많이 애먹었던 기억이 있는데 body,html에 너비높이를 100%로 줘서 해결했던 것이 기억이 났다. 그리고 헷갈리는 부분은 친구의 도움을 받았다. 4. 알게 된 점 친구가 비주얼스튜디오 live share를 통해 코딩하는 것을 도와줬다. 현업에서 일하는 친구의 코딩스타일을 보니 깔끔했고 많은 도움이 되었다. 아래의 코드는 나중에 다시 html 작업을 할때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세탁물 상태현황🧺 상태표시

일기/TIL 2023.01.03

TIL: Today I Learned 36일차 [안될땐 재부팅]

1. 문제점 프로젝트에서 ERD작성하고 기초부터 설계했습니다. 문제는 엄청나게 많이 터졌지만 계속 틀림그림 찾기하며, 해결해나갔다. 2. 시도해본 것들 팀원중 한분이 app.js와 cloth.js 폴더를 만들어서 연결하는 작업을 했는데 아무리 봐도 코드가 맞는데 2시간동안 팀원 전부가 도왔는데도, 코드가 똑같고 당연히 되야할 숙제코드(이미 완벽하고 검증된 코드)도 작동이 안되고 썬더클라이언트에서 404에러가 떴다!!!!!!! 3. 해결과정 마지막에 누군가 갑자기 한마디 했다....... 재부팅 해보죠? 그 결과 해결완료^_^ 4. 알게 된 점 변수간의 철자로 인한 에러 라우터주소로 인한 에러 데이터 전송에서 변수값 에러 등등 수 많은 에러를 겪었지만 5명이 쳐다봐도 완벽(?)해 보이는 코드가 안되는건 재..

일기/TIL 2023.01.02

WIL: Week I Learned 6주차 [클론코딩]

TIL의 회고 : 이번주 알게 된 점 총정리 이번주에는 월~화는 이론공부만 했지만 갑자기 불안감에 휩싸였다. 다음주부터 프로젝트 시작인데 입문과제,숙련과제를 직접 코딩해본적이 없으니 프로젝트 시작하면 내가 만들 수 있는게 있을까 걱정이 많았다..... 그래서 나와 비슷할 것 같은 동기들을 모아서 숙련과제를 같이 만들어보기로 했다. 먼저 과제를 완성한 동기들의 코드도 있기 때문에 코드를 열심히 분석한후 머리속에 남겨둔후 바로 코딩을 했다. 에러도 많고 어려웠지만 이전보단 훨씬 많이 성장했다고 생각한다. 역시 이론만 보기보단 계속 코딩을 하고 알고리즘 문제도 풀어야겠다. 이번 주 목표 달성 여부 알고리즘 문제 꾸준히 풀기 그리고 직접 손코딩해서 과제 완성하기! 만족스러운 한주였다. 다음 주 목표 세우기 1)..

일기/WIL(Sun) 2023.01.02

TIL: Today I Learned 35일차 [프로젝트 시작]

1. 문제점 프로젝트를 위해 구상해야할 것을 팀원들과 회의하였다. S.A 작성 및 제출 ERD 작성 역할 배분 개발 일정 구현 요구사항 체크리스트 공부 목록 2. 시도해본 것들 ERD 디비설계의 경우 다양한 것을 사용하다가 drawsql사이트를 이용하였다. 계속 변수명과 들어가야할 변수 등.. 논의를 통해 최종적으로 아래와 같이 작성하였다. 3. 해결과정 팀원과의 논의 4. 알게 된 점 프로젝트 시작하면서 준비해야할 것들을 알게 되었다. S.A / ERD작성 / 역활배분 / 개발 일정 등.. 이번에 팀원 한분이 페어프로그래밍을 제안하셨다. VS코드에서 Live share라는 것을 통해 같은 파일을 가지고 실시간 코딩을 진행할 수 있다. 5명을 2명/3명으로 나눠 기능을 Live share을 통해 구현하기..

일기/TIL 2022.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