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34

DHCP와 DHCP 릴레이란?

🤔 DHCP란 무엇일까요?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들에게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쉽게 말해, 인터넷에 연결될 때마다 수동으로 IP 주소를 설정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필요한 네트워크 설정을 받을 수 있게 해주는 편리한 시스템이죠! 😊DHCP의 작동 방식 - 4단계로 이해하기발견(Discovery) 📡: 새로운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면 "IP 주소 필요해요!" 라고 외칩니다.제안(Offer) 📝: DHCP 서버가 "여기 IP 주소 하나 줄게요!" 라고 응답합니다.요청(Request) 🙋‍♂️: 기기가 "그 IP 주소 받을게요!" 라고 확인합니다.확인(Acknowledgment) 👍: DHCP 서버가..

DNS란?

1. DNS란? 알기 쉽게 해설IP 주소 = 인터넷 세계의 '주소'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기기는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마치 우리가 실제 세계에서 집이나 건물을 찾아갈 때 필요한 주소와 같습니다.예를 들어, 네이버 서버의 IP 주소는 223.130.195.200과 같은 형태입니다. 구글의 경우 142.250.196.110 같은 숫자로 이루어진 주소를 가집니다.IP 주소의 단점 → 숫자의 열로 "알기 어렵다"문제는 이러한 IP 주소가 외우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네이버에 접속하고 싶을 때마다 223.130.195.200이라는 숫자를 입력해야 한다고 상상해 보세요. 상당히 불편하겠죠?이것이 바로 DNS(Domain Name System)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DNS는 우리가 기..

MIME와 MIME타입이란?

MIME과 MIME 타입인터넷을 사용하다 보면 'MIME 타입'이라는 용어를 종종 마주치게 됩니다. 특히 웹 개발이나 이메일 시스템을 다룰 때 중요한 개념인데요, 오늘은 MIME이 무엇인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드리겠습니다.1. MIME이란 무엇인가?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은 직역하면 '다목적 인터넷 메일 확장'입니다. 처음에는 이메일에 텍스트가 아닌 다양한 형식(이미지, 오디오 등)의 파일을 첨부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이메일뿐만 아니라 웹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죠.MIME의 탄생 배경초기 인터넷에서 이메일은 ASCII 텍스트만 전송할 수 있었습니다. 즉, 영어 알파벳, 숫자, 기본 기호만 담..

IMAP이란?

IMAP이란?이메일은 현대 생활에서 필수적인 통신 수단이 되었습니다. 우리가 이메일을 보내고 받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중 하나가 바로 IMAP입니다. 오늘은 IMAP에 대해 쉽게 알아보겠습니다.1. IMAP이란?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은 이메일을 서버에서 관리하고 접근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쉽게 말해, IMAP은 이메일을 서버에 보관하면서 여러 기기에서 동일한 메일함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방식입니다.1.1 IMAP의 특징IMAP과 함께 자주 언급되는 또 다른 이메일 프로토콜은 POP(Post Office Protocol)입니다. 이 둘의 차이점을 일상적인 예시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POP3는 '우편 수거' 방식POP3는 마치 여러분이 우체국에 가..

POP란?

🌟 POP가 무엇인가요?POP(Post Office Protocol)는 인터넷 이메일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쉽게 말해, POP는 여러분의 이메일 서버에서 개인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이메일을 가져오는 우체부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실생활 비유로 이해하기이메일 시스템을 우체국에 비유해보겠습니다:이메일 서버 = 중앙 우체국POP = 우체부여러분의 기기 = 집 주소우체부(POP)가 중앙 우체국(이메일 서버)에서 여러분의 편지(이메일)를 가져와 집(기기)으로 배달해주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 POP의 주요 특징1. 이메일 다운로드 방식POP는 이메일 서버에서 여러분의 기기로 이메일을 완전히 다운로드합니다.다운로드 후 기본적으로 서버에서 이메일을 삭제합니다.2. 주요 ..

SMTP란?

1. SMTP란?SMTP를 처음 들어보셨나요? 걱정하지 마세요! SMTP는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이메일을 보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통신 프로토콜입니다.간단히 말해, SMTP는 마치 디지털 우체부와 같습니다. 여러분이 작성한 이메일을 받아서 목적지인 받는 사람의 메일 서버까지 안전하게 전달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2. SMTP의 작동 방식SMTP의 작동 방식을 우체국에 편지를 보내는 과정에 비유해보겠습니다:여러분이 이메일 작성 → 우체국(SMTP 서버)에 편지 접수우체국은 받는 사람의 주소(이메일 도메인)를 확인해당 주소의 우체국(수신 SMTP 서버)에 편지 전달받는 사람의 메일함에 안전하게 도착 3. SMTP에 대해 자세히 알..

FTP란?

1. FTP의 기본 개념FTP(File Transfer Protocol)는 인터넷을 통해 파일을 주고받는 표준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 쉽게 말해, 컴퓨터와 서버 사이에서 파일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통신 방식입니다.FTP의 클라이언트-서버 모델F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합니다:클라이언트: 파일을 요청하고 전송하는 사용자의 컴퓨터서버: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원격 컴퓨터 2. FTP 통신 방식: 두 개의 TCP 연결FTP는 두 가지 연결을 사용합니다:제어 연결사용자 인증, 명령 전송 담당기본적으로 21번 포트 사용파일 전송과 관련된 제어 정보 교환데이터 연결실제 파일 데이터 전송 담당20번 포트(액티브 모드) 또는 동적 포트(패시브 모드) 사용 3. FTP 모..

HTTP와 HTTPS란?

1. 전제: 웹 페이지가 표시되는 방식우선 웹 페이지가 어떻게 우리 화면에 표시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과정은 마치 식당에서 음식을 주문하는 것과 비슷합니다여러분(브라우저)이 서버(식당)에 특정 웹 페이지(메뉴)를 요청합니다.서버는 이 요청을 받아 처리한 후 해당 웹 페이지 데이터(음식)를 여러분에게 전송합니다.브라우저는 받은 데이터를 해석하여 화면에 표시합니다(음식을 먹습니다).이 모든 통신 과정에서 사용되는 규칙을 '프로토콜'이라고 하며, HTTP와 HTTPS는 웹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2. HTTP란?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에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 규약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주로 하이퍼텍스트(HTML)를 전송하..

커넥션형/커넥션리스형 통신이란?

커넥션형 통신의 구조커넥션형 통신은 데이터를 주고받기 전에 먼저 연결을 설정하고, 데이터 전송이 끝나면 연결을 종료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마치 전화 통화와 비슷합니다.전화 통화로 이해하기연결 설정: 전화를 걸어 상대방이 받을 때까지 기다립니다.데이터 전송: 상대방이 전화를 받으면 대화를 주고받습니다.연결 종료: 대화가 끝나면 "안녕"하고 전화를 끊습니다.커넥션형 통신에서는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양쪽 컴퓨터가 서로 "준비됐어?"라고 확인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를 '핸드셰이크(handshake)'라고 부릅니다. 그 후 안정적인 통신 경로가 설정되면 데이터를 주고받고, 모든 통신이 끝나면 연결을 종료합니다.연결형 통신의 대표 프로토콜: TCP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포트 번호란?

포트 번호란? (포트번호 = 프로그램 식별)포트 번호는 컴퓨터에서 실행 중인 특정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한 번호입니다. 쉽게 말해, 하나의 건물 안에 여러 개의 방이 있고 각 방마다 번호가 붙어 있는 것과 비슷합니다.예를 들어, 여러분의 컴퓨터가 하나의 아파트라고 생각해 봅시다. 이 아파트에는 '웹 브라우저', '이메일 프로그램', '게임' 등 다양한 프로그램(거주자)이 살고 있습니다. 이 아파트의 주소(IP 주소)로 택배(데이터)가 오면, 택배기사는 어느 방(포트 번호)으로 배달해야 할지 알아야 합니다.만약 포트 번호가 없다면, 컴퓨터는 인터넷에서 받은 데이터를 어느 프로그램에 전달해야 할지 알 수 없습니다. 포트 번호는 0부터 65535까지 총 65536개가 있으며, 각각의 번호는 특정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