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토폴로지란?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컴퓨터나 장치들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보여주는 '연결 구조'나 '배치 방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마치 도시의 도로 지도처럼, 데이터가 이동하는 경로와 장치들이 연결된 방식을 보여줍니다.
주요 네트워크 토폴로지 유형
- 버스형(Bus) 토폴로지
- 하나의 중앙 케이블(버스)에 모든 컴퓨터가 연결됩니다.
- 마치 고속도로처럼 모든 데이터가 이 중앙 통로를 따라 이동합니다.
- 장점: 설치가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듭니다.
- 단점: 중앙 케이블에 문제가 생기면 전체 네트워크가 마비됩니다.
- 스타형(Star) 토폴로지
- 중앙 장치(허브나 스위치)에 모든 컴퓨터가 연결됩니다.
- 마치 바퀴의 중심과 바퀴살처럼 생겼습니다.
- 장점: 한 연결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연결은 계속 작동합니다.
- 단점: 중앙 장치가 고장나면 전체 네트워크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 링형(Ring) 토폴로지
- 각 컴퓨터가 양옆의 두 컴퓨터와만 연결되어 원형을 이룹니다.
- 데이터는 한 방향으로만 이동하며, 원을 따라 돌아갑니다.
- 장점: 데이터 전송이 예측 가능하고 충돌이 적습니다.
- 단점: 하나의 연결이 끊어지면 전체 네트워크가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메시형(Mesh) 토폴로지
- 모든 컴퓨터가 서로 직접 연결됩니다.
- 마치 거미줄처럼 많은 연결 경로가 있습니다.
- 장점: 매우 안정적이며 하나의 연결이 끊어져도 다른 경로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 단점: 설치와 유지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듭니다.
- 트리형(Tree) 토폴로지
- 계층적 구조로, 마치 나무의 가지처럼 확장됩니다.
- 주로 큰 조직이나 기업 네트워크에서 사용됩니다.
- 장점: 확장이 쉽고 관리가 체계적입니다.
- 단점: 상위 연결에 문제가 생기면 하위 모든 연결이 영향을 받습니다.
각 토폴로지는 상황에 따라 장단점이 있어, 네트워크의 목적과 규모, 예산에 따라 적합한 토폴로지를 선택하게 됩니다. 현실에서는 이러한 기본 토폴로지들을 조합한 '하이브리드 토폴로지'도 많이 사용합니다.
728x90
'1일 1네트워크 > 제 1장: 네트워크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MA/CD와 CSMA/CA: 네트워크 충돌 관리 방식의 차이 (0) | 2025.02.28 |
---|---|
미디어 공유/비공유 네트워크의 차이점 (0) | 2025.02.24 |
L3 스위치란? (0) | 2025.02.20 |
브리지와 스위치란? (0) | 2025.02.19 |
리피터 / 리피터 허브란?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