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39

[독후감] 노인과 바다

나만의 줄거리기억을 떠올려 나만의 줄거리를 얘기하자면, 노인은 84일째 큰 고기를 잡지 못했다. 이번에는 큰 고기를 잡을꺼라 믿으며 자신을 믿는 소년(물고기를 못잡으니 다른 어선으로 부모님이 강제로 보낸 소년)과 같이 가지 못하고, 혼자 낚시를 떠났다.오랜 기다림 끝에 큰 놈이 미끼를 물었다. 정확한 날짜는 모르지만 3~4일간 큰 고기(청새치)와의 싸움을 시작한다. 결국 싸움에서 승리하였고, 지친 몸으로 마을로 돌아가던 도중 상어를 만났다. 힘들게 얻은 자신의 고기를 상어에게 몽땅 뺏겼지만 그는 살아서 돌아왔고, 마을 사람들(+소년)이 존재한다는 것에 안도감을 느낀 것 같았다.  느낀점노인은 상남자이다. 그리고 자연을 존중하는 마음이 느껴졌고, 야구과 소년을 매우 좋아했다. 그는 가끔 사자꿈을 꾸었고, ..

1달 1독후감 2025.04.04

브라우저 렌더링 파이프라인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브라우저가 웹 페이지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거치는 과정을 브라우저 렌더링 파이프라인이라고 합니다.이 과정은 크게 6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번째로 DOM 생성입니다.브라우저가 HTML 파일을 받으면, 이 파일을 바이트(byte) 단위로 읽기 시작합니다. 브라우저의 HTML 파서(Parser)는 이 바이트들을 문자(character)로 변환하고, 이 문자들을 다시 HTML 토큰으로 변환합니다. 이 HTML 토큰들은 각각의 태그와 그 안에 포함된 텍스트, 속성 등을 의미하게 됩니다.HTML 토큰이 생성되면, 브라우저는 이를 기반으로 DOM 트리를 생성합니다. DOM 트리는 HTML 문서의 구조를 트리 형태로 표현한 것으로, 각 태그가 노드(node)가 되어 부모-자식 관계를 형성합니다. 예를 들어,  ..

리액트에서 성능 최적화를 위해 적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설명해주세요.

리액트에서 성능 최적화를 위해 적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설명해주세요. 리액트에서 성능 최적화를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메모이제이션을 말씀 드릴 수 있겠습니다.리액트의 memo를 사용하여 컴포넌트를 메모이제이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컴포넌트의 props가 변경되지 않았을 때, 리렌더링을 방지하여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이는 특히 렌더링 비용이 큰 컴포넌트에서 유용합니다. 또한 useCallback과 useMemo를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useCallback 은 함수를 메모이제이션하여 불필요한 함수 재생성을 방지하고, useMemo는 값의 재계산을 방지하여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이를 통해 자식 컴포넌트로 전달되는 함수나 값이 변경되지 않으면 리렌더링을 피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

클라이밍 용어

기술 용어1. 인사이드 스텝: 발을 몸 안쪽으로 교차시켜 홀드를 밟는 기술. 벽에 더 가까이 붙을 수 있게 해줌. 2. 아웃사이드 스텝: 발을 몸 바깥쪽으로 향하게 하여 홀드를 밟는 기술. 다리 회전을 통해 도달 범위를 넓힘.3. 하이스텝: 발을 높게 올려 허리나 가슴 높이의 홀드를 밟는 기술. 상체 부담을 줄이고 효율적인 상승을 가능하게 함.4. 다이노(다이나믹 무브): 두 손과 두 발을 떼고 점프하여 멀리 있는 홀드를 잡는 기술.5. 런지: 한 손은 유지한 채 두 발을 떼고 점프하여 멀리 있는 홀드를 잡는 기술.6. 사이퍼: 한쪽 다리를 들어 올려 무릎을 구부린 상태에서 발을 벽에 붙이고 압력을 가하는 기술. 균형 유지와 체중 분산에 효과적.7. 힐훅: 발뒤꿈치를 홀드에 걸어 몸을 안정시키는 기술. ..

클라이밍 2025.04.04

MIME와 MIME타입이란?

MIME과 MIME 타입인터넷을 사용하다 보면 'MIME 타입'이라는 용어를 종종 마주치게 됩니다. 특히 웹 개발이나 이메일 시스템을 다룰 때 중요한 개념인데요, 오늘은 MIME이 무엇인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드리겠습니다.1. MIME이란 무엇인가?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은 직역하면 '다목적 인터넷 메일 확장'입니다. 처음에는 이메일에 텍스트가 아닌 다양한 형식(이미지, 오디오 등)의 파일을 첨부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이메일뿐만 아니라 웹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죠.MIME의 탄생 배경초기 인터넷에서 이메일은 ASCII 텍스트만 전송할 수 있었습니다. 즉, 영어 알파벳, 숫자, 기본 기호만 담..

인덱스와 PK(Primary Key)의 관계

1. PK(Primary Key)란? PK는 테이블에서 각 행(row)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열(column)입니다. 쉽게 말해서 주민등록번호나 학번처럼 절대로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 값이에요.  PK의 특징 - 중복될 수 없음 - NULL 값을 가질 수 없음 - 테이블당 하나만 존재 2. 인덱스(Index)란? 인덱스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검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자료구조입니다. 책의 목차나 사전의 색인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인덱스의 특징 검색 속도가 빨라짐 데이터 입력/수정/삭제 시 약간의 성능 저하가 있음 추가 저장공간이 필요함 3. PK와 인덱스의 관계 중요: PK로 지정된 열은 자동으로 인덱스가 생성됩니다! 실생활 예시로 이해하기 🏫학생 정보 테이블 예시: CREA..

데이터베이스 인덱스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데이터베이스 인덱스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인덱스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검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자료구조로 백과사전의 색인과 같습니다. 저장되는 컬럼의 값을 사용하여 항상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인덱스는 INSERT, UPDATE, DELETE의 성능이 희생된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검색이 장점) 인덱스는 어떤 자료 구조로 이루어져있나요? 🤔MySQL InnoDB를 기준으로 설명드리자면, B+Tree와 같은 변형 B-Tree 자료구조를 이용해서 인덱스를 구현합니다. 기본 토대는 B-Tree 인덱스이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B-Tree 인덱스는 컬럼의 값을 변형하지 않고 인덱스 구조체 내에서 항상 정렬된 상태로 유지합니다.B-Tree(Balanced..

리액트의 Controlled Component와 Uncontrolled Component

리액트의 Controlled Component와 Uncontrolled Component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Controlled Component는 리액트 상태(state)를 통해 입력 값을 제어하는 컴포넌트를 말합니다. 이 방식에서는 입력 요소의 값(value)을 리액트 상태와 동기화하고, 사용자가 입력을 변경할 때마다 onChange 이벤트 핸들러를 통해 상태를 업데이트합니다. Controlled Component는 값이 리액트의 state로 관리되므로, 입력 시마다 값을 검증하거나, 값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며, 복잡한 폼 로직을 처리하는 데 유용합니다. Uncontrolled Component는 입력 값을 리액트의 상태로 관리하지 않고, DOM을 통해 입력 값을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리액트의 Props와 State

1. Props란 무엇인가?리액트(React)에서 Props(Properties의 줄임말)는 부모 컴포넌트가 자식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입니다. 쉽게 말해, Props는 컴포넌트 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통로입니다.1.1 Props의 특성Props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읽기 전용(Read-only)이라는 점입니다. 자식 컴포넌트는 자신이 받은 Props를 직접 수정할 수 없습니다. 이것은 마치 함수의 매개변수와 비슷합니다 - 함수 내부에서 전달받은 인자의 값을 직접 변경하지 않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1.2 Props 사용 예시아래 예시를 통해 Props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부모 컴포넌트function ParentComponent() { return ( );}// 자..

IMAP이란?

IMAP이란?이메일은 현대 생활에서 필수적인 통신 수단이 되었습니다. 우리가 이메일을 보내고 받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중 하나가 바로 IMAP입니다. 오늘은 IMAP에 대해 쉽게 알아보겠습니다.1. IMAP이란?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은 이메일을 서버에서 관리하고 접근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쉽게 말해, IMAP은 이메일을 서버에 보관하면서 여러 기기에서 동일한 메일함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방식입니다.1.1 IMAP의 특징IMAP과 함께 자주 언급되는 또 다른 이메일 프로토콜은 POP(Post Office Protocol)입니다. 이 둘의 차이점을 일상적인 예시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POP3는 '우편 수거' 방식POP3는 마치 여러분이 우체국에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