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5

인덱스와 PK(Primary Key)의 관계

1. PK(Primary Key)란? PK는 테이블에서 각 행(row)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열(column)입니다. 쉽게 말해서 주민등록번호나 학번처럼 절대로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 값이에요.  PK의 특징 - 중복될 수 없음 - NULL 값을 가질 수 없음 - 테이블당 하나만 존재 2. 인덱스(Index)란? 인덱스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검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자료구조입니다. 책의 목차나 사전의 색인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인덱스의 특징 검색 속도가 빨라짐 데이터 입력/수정/삭제 시 약간의 성능 저하가 있음 추가 저장공간이 필요함 3. PK와 인덱스의 관계 중요: PK로 지정된 열은 자동으로 인덱스가 생성됩니다! 실생활 예시로 이해하기 🏫학생 정보 테이블 예시: CREA..

데이터베이스 인덱스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데이터베이스 인덱스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인덱스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검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자료구조로 백과사전의 색인과 같습니다. 저장되는 컬럼의 값을 사용하여 항상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인덱스는 INSERT, UPDATE, DELETE의 성능이 희생된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검색이 장점) 인덱스는 어떤 자료 구조로 이루어져있나요? 🤔MySQL InnoDB를 기준으로 설명드리자면, B+Tree와 같은 변형 B-Tree 자료구조를 이용해서 인덱스를 구현합니다. 기본 토대는 B-Tree 인덱스이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B-Tree 인덱스는 컬럼의 값을 변형하지 않고 인덱스 구조체 내에서 항상 정렬된 상태로 유지합니다.B-Tree(Balanced..

리액트의 Controlled Component와 Uncontrolled Component

리액트의 Controlled Component와 Uncontrolled Component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Controlled Component는 리액트 상태(state)를 통해 입력 값을 제어하는 컴포넌트를 말합니다. 이 방식에서는 입력 요소의 값(value)을 리액트 상태와 동기화하고, 사용자가 입력을 변경할 때마다 onChange 이벤트 핸들러를 통해 상태를 업데이트합니다. Controlled Component는 값이 리액트의 state로 관리되므로, 입력 시마다 값을 검증하거나, 값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며, 복잡한 폼 로직을 처리하는 데 유용합니다. Uncontrolled Component는 입력 값을 리액트의 상태로 관리하지 않고, DOM을 통해 입력 값을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리액트의 Props와 State

1. Props란 무엇인가?리액트(React)에서 Props(Properties의 줄임말)는 부모 컴포넌트가 자식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입니다. 쉽게 말해, Props는 컴포넌트 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통로입니다.1.1 Props의 특성Props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읽기 전용(Read-only)이라는 점입니다. 자식 컴포넌트는 자신이 받은 Props를 직접 수정할 수 없습니다. 이것은 마치 함수의 매개변수와 비슷합니다 - 함수 내부에서 전달받은 인자의 값을 직접 변경하지 않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1.2 Props 사용 예시아래 예시를 통해 Props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부모 컴포넌트function ParentComponent() { return ( );}// 자..

IMAP이란?

IMAP이란?이메일은 현대 생활에서 필수적인 통신 수단이 되었습니다. 우리가 이메일을 보내고 받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중 하나가 바로 IMAP입니다. 오늘은 IMAP에 대해 쉽게 알아보겠습니다.1. IMAP이란?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은 이메일을 서버에서 관리하고 접근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쉽게 말해, IMAP은 이메일을 서버에 보관하면서 여러 기기에서 동일한 메일함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방식입니다.1.1 IMAP의 특징IMAP과 함께 자주 언급되는 또 다른 이메일 프로토콜은 POP(Post Office Protocol)입니다. 이 둘의 차이점을 일상적인 예시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POP3는 '우편 수거' 방식POP3는 마치 여러분이 우체국에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