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 43

event.target과 event.currentTarget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event.target vs event.currentTarget🤔 둘의 차이점이 뭐야?간단하게 말하면:event.target: 실제로 클릭된 요소 (내가 손가락으로 누른 바로 그 요소!) 👆event.currentTarget: 이벤트 리스너가 달린 요소 (이벤트를 듣고 있는 요소) 👂🏠 일상생활 예시로 이해하기아파트 현관문에 초인종이 있다고 생각해보세요!택배기사가 현관 초인종 버튼을 누름 → 이게 target아파트 안의 엄마가 초인종 소리를 듣고 반응 → 이게 currentTarget버튼을 누른 건 택배기사지만, 실제로 반응하는 건 엄마죠! 🚪🔔💻 React 코드 예시function App() { const handleClick = (e) => { console.log('targ..

URI, URL, URN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URI, URL, URN 차이점 완벽 정리! 🌐쉬운 비유로 이해하기 🏠URI를 집 주소 시스템으로 생각해보세요!URI: 집을 찾는 모든 방법 (주소, 이름 등)URL: 집의 정확한 주소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23번길")URN: 집의 고유한 이름 ("김철수네 집")각각의 특징 살펴보기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모든 인터넷 자원을 식별하는 최상위 개념URL + URN을 모두 포함하는 상위 개념자원을 유일하게 식별하는 문자열위치든 이름이든 상관없이 구별만 가능하면 OK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자원이 "어디에" 있는지 알려주는 주소// Next.js API 라우트에서 URL 파싱export default function ha..

HTML 데이터 속성(data-)은 무엇인가요?

데이터 속성이란? 🤔HTML 데이터 속성은 HTML 요소에 사용자 정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특별한 속성이에요! data-로 시작하는 모든 속성이 바로 데이터 속성입니다.마치 HTML 요소에 메모지를 붙이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면 돼요 📝기본 사용법 ✨// React 컴포넌트 예시function UserCard({ user }) { return ( {user.name} );}JavaScript로 데이터 접근하기 🔍// Next.js 페이지에서 사용 예시useEffect(() => { const handleClick = (e) => { const userId = e.target.dataset.userId; // "12345" const role = e.targ..

주니어 백엔드 개발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실무 지식

🏆 주니어 백엔드 개발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실무 지식 총정리안녕하세요! 오늘은 『주니어 백엔드 개발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실무 지식』 책의 주요 내용을 바탕으로, 실무에서 꼭 필요한 핵심 개념과 팁을 예시와 이모지로 쉽게 정리해볼게요. 개발을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분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최대한 쉽고, 실무에 바로 쓸 수 있는 내용만 쏙쏙 뽑았습니다! 🚀1. 성능의 기본: 어디가 느린지부터 찾자! 🔍API 서버 성능은 단순히 "코드가 빨라야 한다"가 아니라, 전체 흐름(클라이언트 → 서버 → DB → 외부 API 등)에서 병목이 어디인지 파악하는 게 핵심이에요.TTFB(Time to First Byte), TTLB(Time to Last Byte) 등으로 구간별 응답 시간을 측정해보세요.예를 들..

해시 충돌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해시 충돌 완벽 이해하기 - 백엔드 개발자 필수 지식 🎯Node.js로 서버를 개발하다 보면 캐싱, 세션 관리, 데이터베이스 인덱싱 등에서 해시 자료구조를 자주 사용하게 됩니다. 오늘은 해시 충돌이 무엇인지, 어떻게 해결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해시 충돌이란? 🤷‍♂️서로 다른 키가 같은 해시값을 가지는 상황해시 테이블은 키를 해시 함수에 넣어서 나온 값으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하지만 서로 다른 키가 같은 해시값을 만들어내는 경우가 발생해요!// Node.js 캐시 예시 - 해시 충돌 발생!const cache = new Map();function simpleHash(key) { return key.length % 5; // 간단한 해시 함수}// 충돌 발생! 둘 다 해시값이 4consol..

자바스크립트 클래스의 접근제어자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자바스크립트 클래스 접근제어자 완벽 가이드 🔐React 컴포넌트나 Node.js 서버를 개발하다 보면 클래스의 데이터를 어떻게 보호할지 고민하게 됩니다. 오늘은 자바스크립트와 타입스크립트에서 클래스의 접근제어자를 알아보겠습니다! 💪1. Public 접근제어자 🌍누구나 접근 가능한 공개 멤버별도 키워드 없이 선언하면 기본적으로 Public입니다. 클래스 외부에서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어요.// React 컴포넌트 예시class UserProfile { constructor(name) { this.name = name; // Public 멤버 } getName() { return this.name; // Public 메서드 }}const user = new UserProfile("..

[MCP] Task Master AI

설명https://www.youtube.com/watch?v=xdGQ5G2xmO4&t=525s커서와 Superbase라는 DB를 활용함(가장 적합)커서는 MCP 설정이 많음Superbase도 MCP로 연결하면 자동으로 DB 테이블 생성설치npm i -g task-master-aitask-master inittm으로 별칭 설정: y추가세팅:y모델선택에서 엔터 누른 후 AI선택AI를 3개 고름.env.example 파일을 .env로 변경사용하는 API 입력.cursor → mcp.json 파일“env” 안에 사용하는 API 입력AI를 통해 만들고자 하는 AI의 프로젝트 md 파일 생성scripts라는 폴더를 만들고, md파일 이동example_prd.txt# Overview [Provide a high-l..

코딩공부/MCP 2025.06.09

네트워크 통신에서 Body(Payload)와 Header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HTTP Header vs Body 🤔 Header와 Body가 뭔가요?편지를 보내는 상황을 생각해보세요! 📮Header = 봉투에 적힌 정보 ✉️받는 사람 주소보내는 사람 주소우표, 배송 방법"어떻게 처리할지" 알려주는 메타정보Body = 편지 안의 실제 내용 📝전하고 싶은 실제 메시지사진, 문서 등 첨부물"무엇을 전달할지" 담고 있는 데이터🌐 React/Next.js에서 실제 사용법Header 설정하기// fetch API 사용const response = await fetch('/api/users', { method: 'POST', headers: { 'Content-Type': 'application/json', 'Authorization': 'Bearer ' + tok..

Call By Value와 Call By Reference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Call By Value vs Call By Reference🤔 함수 호출 방식이 뭐가 다른가요?친구에게 사진을 보여주는 상황을 생각해보세요! 📸Call By Value (값 복사) 📋사진을 복사해서 줌친구가 복사본에 낙서해도 원본은 안전 ✅Call By Reference (참조 전달) 🔗사진 원본을 직접 줌친구가 낙서하면 원본도 망가짐 ❌🔍 JavaScript에서 실제 동작JavaScript는 조금 특별해요! 타입에 따라 다르게 동작합니다.1️⃣ 원시 타입 - Call By Value// 숫자, 문자열, 불린 등function changeValue(num) { num = 100; // 복사본만 변경 console.log('함수 내부:', num); // 100}let original..

HTTP란 무엇인지 설명해 주세요.

🤔 HTTP가 뭐죠?카페에서 주문하는 과정을 생각해보세요! ☕손님(클라이언트): "아메리카노 한 잔 주세요!"바리스타(서버): "네, 여기 아메리카노입니다!"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에서 브라우저와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받는 약속된 방식입니다.📱 React에서 HTTP 사용 예시// React에서 데이터 가져오기const fetchUsers = async () => { try { const response = await fetch('/api/users'); const users = await response.json(); setUsers(users); } catch (error) { console.error('데이터 가져오기 실패:',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