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 140

TIL: Today I Learned 59일차 [ 문자열 정리하기 (1) ]

1. 문제점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문제풀이 - 자바스크립트 [ 문자열정라하기 (1) ] 2. 시도해본 것들 1) 문자열안에서 숫자만 뽑아온다. 2)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처음에 봤을땐 쉬울 것 같았다. if문에서 typeof로 number인지 비교하면 되지않을까? 결과적으로 실패하였고 다른 방법을 찾아야 했다. 3. 해결과정 우선 문자의 배열화는 다음과 같이 하였다. let arr = [...my_string] 이전에는 array.from()함수를 썼지만 위의 방법이 더 간단해서 좋다. 그럼 문자열안에서 숫자만 가져오는 방법이 뭐가 있을까? parseInt() 함수를 사용한다. 만약 배열안에 값이 숫자가 아니라면 NaN을 반환하기에 이를 조건문에 넣으면 된다. 이제 마지막 오름차순을 하는 방법은 다음과..

일기/TIL 2023.02.09

TIL: Today I Learned 58일차 [ 프로젝트 발표일 ]

1. 문제점 백앤드는 손도 못댔다는 것이 문제!!! 2. 시도해본 것들 계층별로 나누니까 더욱 어려웠다. 어렵다는걸 얘기하지도 못했고, 그저 프론트만 만들었다. 3. 해결과정 이번 프로젝트는 나에게 실패다. 대부분 프로젝트를 통해 얻어가는 것이 있을텐데 이번엔 남는 것이 없는 것 같다. 그나마 실패했다는 사실, 다신 반복하지 말아야겠단 생각이 들었다. 4. 알게 된 점 아쉬운점: 실력부족으로 인해 백엔드 참여 못한 점이 아쉬웠습니다. 부족한 건 부족하다고 말하고 도움을 구했어야 했는데, 말을 하지 못해서 이번 프로젝트에선 성장하지 못한 것 같고 팀에 도움이 못된 것 같아서 죄송합니다. 개선사항: 최우선적으로 개인실력 향상이 제일 필요합니다. 그리고 마지막 프로젝트는 팀원들과 소통을 더욱 많이 해야하고, ..

일기/TIL 2023.02.08

WIL: Week I Learned 11주차 [프로젝트 시작]

이번주 알게 된 점 총정리 수요일부터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하루는 날잡고 전체적인 청사진을 그렸다. 그리고 다음날부터 바로 레이어드 아키텍처 패턴으로 폴더를 전부 놔눴다. 엄청나게 많은 파일과 폴더가 만들어졌는데, 더욱 나눌수있다는 점이 더욱 혼란스러웠다. 이번 주 목표 달성 여부 프론트 화면 위주로 우선 만들었고 백앤드는 손대지 못하였다. 다음 주 목표 세우기 프로젝트 필수구현까지 최선을 다하기

일기/WIL(Sun) 2023.02.08

TIL: Today I Learned 57일차 [ 프로젝트 2일 ]

1. 문제점 문제가 너무 많아서 문제 2. 시도해본 것들 장바구니를 백앤드로 구현해보고, 프론트는 회원가입, 로그인, 제품상세조회 등 작성 3. 해결과정 각자 역활을 맡아서 구현중 맡은 백앤드를 구현했으니, 남은 시간은 프론트 위주로 진행하였다. 4. 알게 된 점 미리 구조를 짜는 것도 어렵고, 각자 파트를 나눠서 진행하여도 막히거나 엮인것이 많으니 소통하는 시간이 길어졌다. 사람이 모이면 조율하는게 역시 어렵다.

일기/TIL 2023.02.02

TIL: Today I Learned 56일차 [ 프로젝트 1일 ]

1. 문제점 2. 시도해본 것들 오전에 발제내용을 확인했다. 이커머스 홈페이지를 만들고 소켓활용과 아키텍처 패턴, 테스트코드 작성, 장바구닝 기능 등 이전과 비슷하지만 추가해야할 기능이 늘어났다. 3. 해결과정 우선 팀원끼리 첫날이니 S.A 작성하고 API, 데이터모델링을 했다. 기본을 튼실하게 쌓고 가는게 좋을 것 같았다. 4. 알게 된 점 프로젝트 시작전에 중요시 해야할 부분과 협업git활용을 배웠다. 팀원끼리 상의를 통해 모두 정리하니 저녁시간이었고, 남은 시간은 프론트쪽 html을 가볍게 만들어보았다. 오늘은 머리싸매고 하루종일 정리하였으니 내일부턴 하루종일 코딩할 것 같다.

일기/TIL 2023.02.01

TIL: Today I Learned 55일차 [ 가위바위보 ]

1. 문제점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문제풀이 - 자바스크립트 [ 가위바위보 ] 2. 시도해본 것들 처음 봤을땐 막막했다. 문제 풀때마다 왜 이러지ㅋㅋㅋ 일단 모두 이기는 경우니까 경우의 수는 3개 그럼 for문 안에서 if문으로 걸러내야 겠다고 생각했다. 3. 해결과정 일단 문제를 글로 쓰면서 이해했다. // 가위는 2, 바위는 0, 보는 5 손가락 갯수 // 가위는 2 > 보 5 // 바위는 0 > 가위 2 // 보는 5 > 바위 0 좀 알아보긴 어렵지만 이렇게 써서 문제를 이해하고 코드로 구현해봤다. 4. 알게 된 점 나의 문제풀이 function solution(rsp) { var answer = ''; // 가위는 2, 바위는 0, 보는 5 손가락 갯수 // 가위는 2 > 보 5 // 바위는 0 >..

일기/TIL 2023.01.31

TIL: Today I Learned 54일차 [ 암호해독 ]

1. 문제점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문제풀이 - 자바스크립트 [ 암호해독 ] 2. 시도해본 것들 배열이면 쉬울텐데, 배열로 하고 싶지 않았다. 매번 배열문자열 왔다갔다하는게 귀찮았기 때문.. 이번엔 문자열만으로 원하는 단어만 뽑아내보기로 했다. 3. 해결과정 첫번째 알파벳은 배열이라면 어떻게 구할까? 인덱스는 0부터 시작이니 code에서 -1만 하면 될것이다. i = code-1; 그리고 code 만큼 더하면 의도대로 뽑아낼 수 있다. 4. 알게 된 점 나의 문제풀이 function solution(cipher, code) { var answer = ""; for(i= code-1; i(i+1)%code===0).join(''); } 대부분 split , filter로 풀었는데 사실 뭔소린지 잘 모르겠다...

일기/TIL 2023.01.30

WIL: Week I Learned 10주차 [추가학습]

TIL의 회고 : 이번주 알게 된 점 총정리 타입스크립트 기간이지만 여러번 반복해서 공부했기에 기반이 되는 자바스크립트 공부를 더 하고 있다. Deep Dive 책을 정독하고 있고, 노드교과서라는 책도 읽고 있는 중이다. 알고리즘도 꾸준히 풀다보니 익숙해지는 문법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번 주 목표 달성 여부 타입스크립트 실전공부는 하지 못했다. 이전까진 강의만 주로 들었는데 이번엔 책을 통해 기본 개념을 다시 정립하는 중이다. 다음 주 목표 세우기 다음주부터는 프로젝트 기간이다. 월,화는 공부기간이니 그때 다시 한번 타입스크립트 공부를 하고 남은 프로젝트 기간동안 몰입할 예정

일기/WIL(Sun) 2023.01.27

TIL: Today I Learned 53일차 [대문자와 소문자]

1. 문제점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문제풀이 - 자바스크립트 [대문자와 소문자] 2. 시도해본 것들 문제를 보고 for문을 이용해 첫번째 인덱스가 대문자라면(if) 소문자로! 소문자라면(if) 대문자로! 노가다하기로 결심했다. 바꾸는 과정은 아는데 if문에서 소문자인지 대문자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3. 해결과정 해결방법은 arr[i] 와 변환시켜둔 arr[i].toLowercase() 가 같은지 확인하면 되는 것 이었다. 배열값을 두고 이게 소문자로 변환시킨 배열값과 동일한가? if( arr[i] == arr[i].toLowerCase() ) 4. 알게 된 점 나의 문제풀이 function solution(my_string) { var answer = []; var arr = Array.from(..

일기/TIL 2023.01.27

TIL: Today I Learned 52일차 [모음제거]

1. 문제점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문제풀이 - 자바스크립트 [모음제거] 2. 시도해본 것들 문자열을 배열로 바꿔준후, for문에서 모음에서 해당하는 인덱스를 삭제했다. function solution(my_string) { var answer = ''; var arr = Array.from(my_string); for(i=0; i=0; i--){ if (arr[i] === 'a' || arr[i] === 'e' || arr[i] === 'i' || arr[i] === 'o' || arr[i] === 'u'){ arr.splice(i,1); } } return arr.join(''); } 문자열만으로 끝내고 싶었는데 아는 것이 없다보니 이런 유형 문제는 항상 문자열 배열을 왔다갔다하는 노가다로 풀게 된다ㅠ..

일기/TIL 2023.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