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1CS(Computer Science) 142

트랜잭션 격리수준은 무엇인가요?

트랜잭션 격리수준 쉽게 이해하기 🔐트랜잭션 격리수준이란? 🤔트랜잭션 격리수준은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때, 데이터가 얼마나 안전하게 보호되는지를 결정하는 수준이에요. 쉽게 말해, 여러 사람이 같은 데이터를 동시에 수정하거나 조회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핵심 포인트: 격리수준이 높을수록 데이터는 더 안전하지만, 처리 속도는 느려집니다. 반대로 격리수준이 낮을수록 처리 속도는 빨라지지만, 데이터 일관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 트랜잭션 격리수준에서 발생하는 문제들 ⚠️격리수준을 이해하기 전에, 먼저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알아봅시다:1. Dirty Read 📖🚫다른 트랜잭션이 아직 완료(커밋)하지 않은 데이터를 읽는 문제..

브라우저 렌더링 파이프라인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브라우저가 웹 페이지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거치는 과정을 브라우저 렌더링 파이프라인이라고 합니다.이 과정은 크게 6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번째로 DOM 생성입니다.브라우저가 HTML 파일을 받으면, 이 파일을 바이트(byte) 단위로 읽기 시작합니다. 브라우저의 HTML 파서(Parser)는 이 바이트들을 문자(character)로 변환하고, 이 문자들을 다시 HTML 토큰으로 변환합니다. 이 HTML 토큰들은 각각의 태그와 그 안에 포함된 텍스트, 속성 등을 의미하게 됩니다.HTML 토큰이 생성되면, 브라우저는 이를 기반으로 DOM 트리를 생성합니다. DOM 트리는 HTML 문서의 구조를 트리 형태로 표현한 것으로, 각 태그가 노드(node)가 되어 부모-자식 관계를 형성합니다. 예를 들어,  ..

리액트에서 성능 최적화를 위해 적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설명해주세요.

리액트에서 성능 최적화를 위해 적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설명해주세요. 리액트에서 성능 최적화를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메모이제이션을 말씀 드릴 수 있겠습니다.리액트의 memo를 사용하여 컴포넌트를 메모이제이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컴포넌트의 props가 변경되지 않았을 때, 리렌더링을 방지하여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이는 특히 렌더링 비용이 큰 컴포넌트에서 유용합니다. 또한 useCallback과 useMemo를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useCallback 은 함수를 메모이제이션하여 불필요한 함수 재생성을 방지하고, useMemo는 값의 재계산을 방지하여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이를 통해 자식 컴포넌트로 전달되는 함수나 값이 변경되지 않으면 리렌더링을 피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

인덱스와 PK(Primary Key)의 관계

1. PK(Primary Key)란? PK는 테이블에서 각 행(row)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열(column)입니다. 쉽게 말해서 주민등록번호나 학번처럼 절대로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 값이에요.  PK의 특징 - 중복될 수 없음 - NULL 값을 가질 수 없음 - 테이블당 하나만 존재 2. 인덱스(Index)란? 인덱스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검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자료구조입니다. 책의 목차나 사전의 색인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인덱스의 특징 검색 속도가 빨라짐 데이터 입력/수정/삭제 시 약간의 성능 저하가 있음 추가 저장공간이 필요함 3. PK와 인덱스의 관계 중요: PK로 지정된 열은 자동으로 인덱스가 생성됩니다! 실생활 예시로 이해하기 🏫학생 정보 테이블 예시: CREA..

데이터베이스 인덱스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데이터베이스 인덱스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인덱스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검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자료구조로 백과사전의 색인과 같습니다. 저장되는 컬럼의 값을 사용하여 항상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인덱스는 INSERT, UPDATE, DELETE의 성능이 희생된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검색이 장점) 인덱스는 어떤 자료 구조로 이루어져있나요? 🤔MySQL InnoDB를 기준으로 설명드리자면, B+Tree와 같은 변형 B-Tree 자료구조를 이용해서 인덱스를 구현합니다. 기본 토대는 B-Tree 인덱스이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B-Tree 인덱스는 컬럼의 값을 변형하지 않고 인덱스 구조체 내에서 항상 정렬된 상태로 유지합니다.B-Tree(Balanced..

리액트의 Controlled Component와 Uncontrolled Component

리액트의 Controlled Component와 Uncontrolled Component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Controlled Component는 리액트 상태(state)를 통해 입력 값을 제어하는 컴포넌트를 말합니다. 이 방식에서는 입력 요소의 값(value)을 리액트 상태와 동기화하고, 사용자가 입력을 변경할 때마다 onChange 이벤트 핸들러를 통해 상태를 업데이트합니다. Controlled Component는 값이 리액트의 state로 관리되므로, 입력 시마다 값을 검증하거나, 값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며, 복잡한 폼 로직을 처리하는 데 유용합니다. Uncontrolled Component는 입력 값을 리액트의 상태로 관리하지 않고, DOM을 통해 입력 값을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리액트의 Props와 State

1. Props란 무엇인가?리액트(React)에서 Props(Properties의 줄임말)는 부모 컴포넌트가 자식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입니다. 쉽게 말해, Props는 컴포넌트 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통로입니다.1.1 Props의 특성Props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읽기 전용(Read-only)이라는 점입니다. 자식 컴포넌트는 자신이 받은 Props를 직접 수정할 수 없습니다. 이것은 마치 함수의 매개변수와 비슷합니다 - 함수 내부에서 전달받은 인자의 값을 직접 변경하지 않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1.2 Props 사용 예시아래 예시를 통해 Props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부모 컴포넌트function ParentComponent() { return ( );}// 자..

이벤트 루프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자바스크립트 이벤트 루프: 비동기 작업의 숨겨진 비밀들어가며: 자바스크립트의 특별한 능력자바스크립트는 단일 스레드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여러 일을 동시에 처리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 마법 같은 능력의 주인공, 바로 이벤트 루프입니다! 🤔 이벤트 루프란 무엇인가?이벤트 루프는 자바스크립트의 비동기 작업을 관리하는 놀라운 메커니즘입니다. 마치 주방장이 여러 요리를 동시에 관리하는 것처럼, 이벤트 루프는 다양한 작업들을 조율합니다.주요 구성 요소콜 스택 (Call Stack)현재 실행 중인 함수들이 쌓이는 공간함수 호출 순서를 관리하는 접시 더미라고 생각하세요태스크 큐 (Task Queue)비동기 작업의 결과가 대기하는 공간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마이크로태스크 큐매크로태스크 큐 🎬 이벤트 루프..

TanStack Query: staleTime과 gcTime

여러분,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를 불러올 때 매번 서버에 요청하는 건 비효율적이에요. 그래서 우리에게는 '캐싱'이라는 마법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TanStack Query의 staleTime과 gcTime은 이 마법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staleTime: 데이터의 신선함을 지키는 시간 🍎stale (오래되거나 신선하지 않은)🌟 스토리로 이해하기상상해보세요. 여러분이 매일 아침 신선한 우유를 냉장고에 보관한다고 가정해봅시다.staleTime은 마치 "이 우유는 2시간 동안은 완전히 신선해!"라고 말하는 것과 같아요.2시간 동안은 같은 우유를 다시 사러 갈 필요가 없죠.실제 코드 예시const { data } = useQuery({ queryKey: ['products'], que..

reflow와 repaint의 차이점과 최적화 방법

Reflow와 Repaint란?웹 페이지가 화면에 표시되는 과정은 마치 정교한 연극 무대를 꾸미는 것과 같습니다.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배우들이 바로 Reflow와 Repaint입니다. 두 용어는 웹 성능의 핵심이며, 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반드시 이해해야 할 개념입니다. Reflow: 무대 배치를 다시 그리다Reflow는 브라우저가 웹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다시 계산하는 과정입니다. 마치 연극 감독이 무대 위 배우들의 위치를 다시 배치하는 것처럼, 브라우저는 DOM 요소들의 위치와 크기를 재계산합니다.Reflow가 발생하는 대표적인 상황// Reflow를 유발하는 코드 예시element.style.width = '300px'; // 요소의 너비 변경element.style.height = '200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