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DP 2

커넥션형/커넥션리스형 통신이란?

커넥션형 통신의 구조커넥션형 통신은 데이터를 주고받기 전에 먼저 연결을 설정하고, 데이터 전송이 끝나면 연결을 종료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마치 전화 통화와 비슷합니다.전화 통화로 이해하기연결 설정: 전화를 걸어 상대방이 받을 때까지 기다립니다.데이터 전송: 상대방이 전화를 받으면 대화를 주고받습니다.연결 종료: 대화가 끝나면 "안녕"하고 전화를 끊습니다.커넥션형 통신에서는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양쪽 컴퓨터가 서로 "준비됐어?"라고 확인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를 '핸드셰이크(handshake)'라고 부릅니다. 그 후 안정적인 통신 경로가 설정되면 데이터를 주고받고, 모든 통신이 끝나면 연결을 종료합니다.연결형 통신의 대표 프로토콜: TCP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와 UDP란?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TCP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의 약자로,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설계된 프로토콜입니다. TCP는 데이터가 손실 없이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보장하며, 데이터의 순서가 유지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UDP (User Datagram Protocol)UDP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의 약자로, TCP보다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UDP는 데이터의 안정적인 전송보다는 빠른 전송에 중점을 둡니다. TCP의 작동 방식TCP는 '연결 지향적'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전에 먼저 연결을 설정합니다. 이 과정은 '3-way 핸드셰이크'라고 불리는데,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연결 요청: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연결 요청(SYN) 메시지를 보..